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숲을 ‘솎아베기’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해충이 많이 생길수록 산불에 취약한 살아있는 식물, 즉 화재의 연료로 쓰이게 될 식물을 줄이게 된다”며 “특히 해충이 나뭇가지의 수평, 수직 분포를 바꾸므로 산불이 크게 번질 위험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케톤 교수는 “이번 연구를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데 모든 생물은 각자의 신경망을 동원한다. 지금까지 이 신경망이 완전히 해독된 생물은 약 1mm 정도 크기의 예쁜꼬마선충뿐이다. 그들이 가진 302개의 세포와 8000여 개의 연결망이 20여년의 연구 끝에 모두 해독됐다. 반면 인간 뇌의 신경망 수는 1000조 개에 달하는데다, 매 순간마다 변화를 거듭한다.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친다. 그 변화를 실험으로 확인했다.제임스 어낼리티스 교수는 비소화카드뮴 샘플을 약 100nm 두께로얇게 만든 뒤, 극저온, 초고진공에서 바일 준금속 상태를 구현했다. Q 양자물질 실험을 잘 하는 비결이 있다면.내 비밀 무기는 아주 뛰어난 학생들과 함께 연구한다는 것이다. 그게 핵심이다. ...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양은 약 8분의 1, 일산화탄소는 약 5분의 1 등으로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Part 3. 실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 망원경의 시작이었지요. 리퍼세이가 발명한 망원경은 약 3배 정도의 배율을 갖고 있었답니다. 스미스소니언 현미경과 망원경으로 멋지게 관찰해요!우리의 머리카락을 크게 확대하면 어떻게 보일까요? 달의 울퉁불퉁한 크레이터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볼 수 ... ...
- [과학뉴스] 혈당 재고, 약 넣어 주는 ‘당뇨 패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열을 내, 바늘이 녹으면서 약물이 피부로 스며든다. 혈당 정도에 따라 투입하는 약물 양을 여섯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김대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패치는 혈당 수치 측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바이오센서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쥐를 이용한 실험에 성공했고 임상 단계가 ...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소속돼 학생들의 연구를 지도하기도 합니다. 연구소와 대학의 인력을 모두 합치면 약 1000명 가까이 됩니다. 한 가지 놀라운 건 연구소에 새로 들어온 우수한 젊은 과학자들이 3년 동안 정교수보다 월급이 1.5배 더 많다는 것. 생활비 걱정 말고 연구에만 전념하라는 뜻으로, 성과가 좋으면 3년 뒤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밝혀 그 결과를 2013년 학술지 ‘행동 과정’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만약 위험신호를 듣고 반응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라면, 포식자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사는 무리들은 이 같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아프리카 본토와 멀리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고온초전도체는 1986년 구리 화합물에서 발견됐다. 현재 대기압 정도의 압력에서는 약 135K까지, 고압에서는 202K까지 초전도성이 나타나도록 임계온도를 높인 상태다. 1957년 존 바딘과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가 저온초전도 현상의 원리를 밝혔지만, 고온초전도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한국 종합 1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가장 권위 있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가 올해 58회인 것에 비하면 신생대회다. IMO는 약 100여 국이 참여하는 대회인 반면에 RMM은 15~30개국만 참여한다. 마치 IMO의 축소판 같지만, RMM은 IMO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대회다.IMO의 대회 양식에 따르면, 참가국 중에서 추첨으로 뽑힌 각 나라 단장 몇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