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탄성을 질렀답니다. “광물은 자연에서 산출되는 결정을 말해요. 자연에서 존재하는
분자
중 같은 종류가 모여 규칙적으로 배열이 되면 광물이 된답니다. 우리 주변에서 보는 물질 대부분이 바로 광물이에요. 예를 들어 연필심의 재료인 흑연이 바로 광물이지요. 유리의 재료가 되는 석영도 ... ...
파검 vs 흰금 드레스 논쟁…끝나지 않은 의문
2015.03.01
로돕신(rhodopsin)이라는 색소 단백질을 이용합니다. 로돕신은 밝은 환경에서 더 작은
분자
로 분리돼 없어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만일 B 원추체의 로돕신이 더 많이 없어질 경우 파란색을 본래 색깔대로 인식하지 못하는데요. 우리 뇌는 부족한 로돕신으로도 파란색을 보기 위해 감도를 조절하는 등 ... ...
1조 분의 1초,
분자
탄생 순간 눈으로 봤다
2015.02.23
결합이 끊어지는 과정을 밝혀 ‘사이언스’에 발표한 적이 있다. 이번에 원자가 결합해
분자
가 생기는 과정까지 관측하며 한 연구팀이 화학반응의 시작과 끝을 모두 밝히는 쾌거를 이뤘다. 연구팀은 특수광원을 이용한 이 실험 방법을 단백질 연구에도 응용할 계획이다. 단백질의 탄생 순간과 ... ...
우아한 숄 두른 갯민숭달팽이, 이탈리아에 가다
2015.02.22
‘DNaseI’ 등 효소의 이름이 적혀 있고 도로 표지판에도 ‘인핸서’와 ‘프로모터’ 등
분자
생물학 용어가 등장한다. 그림 중에서도 핵심은 여러 개의 원형교차로다. 원형교차로는 DNA를 감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을 의미하며, 실제로 이 단백질에 붙는 메틸기와 아세틸기 등의 화학기가 구슬 ... ...
필로폰 맞은 청소년 뇌가 어른보다 더 심각하게 망가진다
2015.02.16
청소년의 뇌를 분석한 것은 류 교수팀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
분자
정신의학’ 1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류 교수팀은 필로폰으로 불리는 메스암페타민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평균 18세 청소년 51명과 평균 41세 성인 54명의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했다. 연구진이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물속에서 저절로 조립되는 ‘
분자
종이’ 연구를 이끌기도 했다. 미국 연구진은 몸속에서 스스로 조립돼 암세포 하나를 집어낼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 미국 존스홉킨스대 제공 현재 자기조립 기술은 더 정교해져 암 치료에까지 ... ...
한파에 폭설까지, 빙판길 미끄러지지 않는 방법
2015.02.09
아스팔트나 돌로 된 보도블록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있다. 이 구멍으로 스며든 물
분자
는 위에 쌓인 눈과 결합해 눈이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지하철역 밖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단단히 언 눈길 중간에 눈 녹은 물이나 빗물이 빠져나가는 하수통로가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창살을 제외하면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우리 몸에서 물이 60%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다른
분자
에 있는 수소원자도 어차피 물
분자
의 수소원자에서 왔다!)을 생각하면 지구에게 우리 모두는 타인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그리고 왓슨과 크릭이 1953년에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DNA의
분자
구조를 밝혔다. 이로써
분자
수준에서 생명을 탐구하는 첨단생명과학이 시작됐다. DNA에는 음전하를 띤 인산염이 주기적으로 배열돼 있어서, DNA가 길수록 음전하의 양도 많아진다. 덕분에 전기장 내에서 DNA는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 ... ...
기억 만드는 해마신경세포 보호 물질 발굴
2015.01.22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
분자
치료(Molecular Therapy)’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독성물질인 트롬빈을 넣은 쥐에게서는 신경세포가 감소(왼쪽)했지만 유전자 구조체를 넣은 쥐에게서는 신경세포가 별로 줄어들지 않았다(가운데).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