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6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
과학동아
l
2014.11.15
분자
는 형광 빛을 잃어요. 우리가 보고 싶은
분자
는 빛을 한 번만 쏘고, 안 보고 싶은
분자
는 빛을 두 번 쏘는 방법. 이게 바로 이번에 노벨화학상을 받은 초분해능 광학현미경의 원리예요.”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참가자 60여명이 고개를 끄덕였다. 참가자들의 질문도 수준 높았다. 윤 교수가 ... ...
몸속 물질 모방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분자
는 수소나 전자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연구진은 이 물질을 모방한 프테리딘
분자
를 이차전지에 적용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든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 무기물로 만든 리튬 이차전지와 비교해 에너지 밀도와 수명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강 교수는 “무겁고 ... ...
젊은 뇌는 빨개요
2014.11.02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70세 노인의 뇌가 장식했다. 뇌 부위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됐는데, 이 색은 뇌 속 마이엘린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 DNA 시퀀싱’ ‘전기를 이용해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시트로 옮기는 법’ 같은
분자
생물학적 기법이 10위 안에 들었다. ... ...
새로운 단백질 구조 분석방법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4.11.02
매우 많고, 단백질이 뭉쳐져 있는 상태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유 교수는 “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백질 접힘의 문제를 모두 풀었다고 생각하는 학계 분위기를 새롭게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두 가지 실험결과를 비교하면 보다 더 정확한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될 ... ...
사랑도 알고리즘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2014.11.02
과정과 그 성과, 그리고 남겨진 과제를 이야기한다. 과학자들은 최초에 얼마의
분자
가 물속에서 서로 합쳐지면서 자신의 형태를 본뜬 구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또 다른 자신을 만들어낼 수 있는 ‘화학적 오토마톤’이 생명체의 비밀을 푸는 열쇠라고 생각했다. 이를 밝혀내기 위해 오토마톤이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호르몬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생체
분자
를 만들어내 숙주의 생리반응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항생제는 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헬리코박터 때문에 못 컸다? 블레이저 교수는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연구결과 하나를 소개했다. 즉 위에 ... ...
[사이언스 브리핑] 김상연 과학동아 편집장 ‘제48회 한국잡지언론상’ 기자부문 수상자 선정 外
2014.10.24
열리는 이달 31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다. ■이분열 아주대
분자
기술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롯데케미칼에 이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플라스틱은 박테리아와 곰팡이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 ...
스트레스와 우울증 관계 처음 밝혀졌다
2014.10.22
‘스트레스 회복력’이 우울증 발병과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허송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춘천센터 연구부장. - 한국 ... 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
분자
정신의학’ 22일자에 게재됐다. ... ...
‘낮여밤닫’ 햇빛에 반응하는 스마트 윈도우
2014.10.22
화합물을 혼합해 새로운 형태의 액정을 만들었다. 아조 벤젠계 화합물은 빛을 만나면
분자
구조가 변하는 특성이 있어 빛의 유무에 따라 액정의 나선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액정의 위아래에 편광판을 부착해 빛의 유무에 따라 성질이 변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만들었다. 편광판은 빛이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네 층으로 쌓자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 넣은 고
분자
전해질층이 발광 현상을 도왔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초경량 전자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며 “단일층 소재에 국한됐던 연구가 돌파구를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