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손가락 끝으로 얼마나 많은 회전을 주는지에 따라 속도와
정확
성이 달라진다. 야구에서
정확
하고 빠르게 공을 던져 타자와 승부하는 투수는 손가락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2007 한국프로야구에서 최우수선수상을 받은 두산 베어스의 다니엘 리오스 투수는 “공이 손끝을 떠나는 순간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시간입니다. 극명한 명암대비가 없어 시야가 확장되고 시력도 좋아집니다.”색에 대한
정확
한 정보를 전달하는 색상변환기술이 디지털세상을 넘어 실제 세상에서도 널리 적용되길 기대해본다.Report 2 너는 눈부시지만 나는 눈물겹다 광과민성질환올해 중학교 3학년인 B양은 체육시간에 운동장을 ... ...
방사성 의약품과 의료기기 사용의 안전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명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려는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방사선 양을
정확
하게 재는 일이 중요하다.표준연은 의약품에 포함된 방사성원소가 내놓는 방사선을 측정해 핵종별(원자별) 표준을 정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핵종은 베타선과 감마선을 동시에 배출한다. 베타선이 나올 때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없애고 싶다고?구충약을 사왔어? 바보. 난 보통 구충약으로는 없어지지 않아. 병원에서
정확
하게 진찰을 받고 프라지콴텔이라는 성분이 든 약을 먹어야 날 없앨 수 있단다. 물론 평소에 민물고기를 완전히 익혀서 먹고 손이나 도마, 행주를 깨끗하게 한다면 내가 너의 몸으로 들어가지도 못할 거야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파악하기 위해 관성항법장치(INS)를 이용해 항해한다 그리고 수면 가까이에 부상하면
정확
한 위치보정을 위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는 위성항법장비(GPS)를 이용한다 지상의 중계국에서 오는 전파로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도 있다잠수함 무기인 각종 어뢰, 미사일 등을 발사, 조종하기 위한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그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안드로메다은하와 지구 사이의
정확
한 거리(약 300만 광년)가 처음으로 측정됐다. 청각 장애를 극복한 두 천문학자의 100년을 뛰어넘는 업적으로 우주가 그동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이달의 천문현상지구에 가장 가까이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개발했다. 1989년에는 유전자 적중 쥐를 세상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
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전자 적중 쥐는 질병을 치료하는 길을 매끄럽게 닦았다.맞춤형 쥐는 과학자가 원하는 특정 유전자를 쏙 뺀 쥐다. 사실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다른 유전자로 바꾸는 기술은 미생물 같은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경도를
정확
히 측정할 수 있지만 이를 기준으로 한 시간을 쓰지는 않는다. 과학적으로
정확
하다고 해 그것이 늘 의미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과학은 사회 안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적인 요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 ...
피 검사로 알츠하이머 진단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않은 실험자 92명을 대상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확인했더니 알츠하이머 여부를 판단하는
정확
도가 90%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코레이 박사는 “약한 인지장애가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혈액 검사에서 알츠하이머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 받은 사람의 91%가 2~6년 뒤에 발병했다”고 밝혔다. 미국 ... ...
2. 암모니아 합성 과정, 원자 수준에서 보는 고체표면화학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표면에 미량의 수소기체를 반응시켰다. 진공이 아니면 다른 기체가 불순물로 작용해
정확
한 실험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1960년대에 개발된 ${10}^{-10}$mmHg (760mmHg= 1기압)을 유지하는 초고진공 장치는 금속 시료의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하고, 원하는 양의 기체만 금속표면에 접촉하게 해 반응하는 기체의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