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강하다고 말한다 콘트라스트가 강하면 노출 관용도는 좁아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
히 노출해야 한다생물이나 물체가 발하는 열을 감지하는 특수 필름이다 원래 식물의 분포를 관측하거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항공촬영을 할 때 사용됐다 보통의 컬러 필름처럼 3개의 유제층이 있는데, 두 층은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물론 이 망원경의 핵심은 별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시스템이 장착된 삼각대다.“별을
정확
하게 찾아가고 추적하기 위해서는 일반 업체에서 만드는 1급기어보다 훨씬 좋은 초정밀 기어가 필요했어요. 그래서 기계를 손수 제작해 초정밀 기어를 깎았죠. 그 다음엔 로봇 구동 알고리듬을 이용해 기어가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지요. 나에게 주어진 1초 동안 더 빨리 작업을 하면 변화무쌍한 날씨도 좀 더
정확
하게 예측할 수 있고 가상 세계를 더 빨리 누빌 수도 있어요. 저에게 1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귀중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하루살이저는 하루를 산다고 알려진 하루살이입니다. 하루 종일 시간 공장을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수학자 '알콰리즈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어떤 문제 해결을 위해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정확
한 방법이나 절차를 가리킨다복잡한 연산 문제를 잘게 쪼갠 후 웹 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에서 자료를 주고 받으며 계산하는 방식 대형 연산 등 복잡한 문제 해결과 멀리 떨어진 사람끼리 협력해 일을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성질을 이용해 만든 온도계가 바로 액정온도계다.액정온도계는 눈금을 읽을 필요 없이
정확
한 온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필름처럼 얇아 활용폭도 매우 넓다. 실험실 비커의 온도를 잴 때 비커 바깥쪽에 액정온도계를 붙여 놓으면 실험할 때 온도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냉장고나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들기 쉬운 '폴리아크릴산'이 화학 생리대의 흡수제로 쓰인다컷은 다이아몬드 원석을
정확
한 방향과 각도로 잘라 빛을 전반사하는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기술이다 들어온 빛이 그대로 되돌아 나가야 이상적인데 하부가 너무 얕거나 깊으면 빛이 다이아몬드 아래로 빠져나간다CDMA를 광대역에 맞게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진행될 수는 없듯 생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역시 ‘모 아니면 도’식의 간결하고
정확
한 디지털시스템을 따른다.차가운 반도체에서 태동한 MEMS 기술은 이제 나노미터 규모까지 정교해졌고 생체현상을 모방하면서 훨씬 인간적이고 따뜻해졌다. 자연에 존재하는 가장 완벽한 창조물인 인간의 ... ...
“이리 와 이리 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좀비처럼 말벌의 꽁무니를 졸졸 따라가지요. 왜 바퀴벌레가 좀비처럼 행동할까요? 아직
정확
한 이유는 모르지만 연구팀은 말벌의 침을 맞은 바퀴벌레의 몸 안에서 옥토파민이라는 물질이 없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옥토파민은 걷는 것과 같은 복합적인 행동을 하는 데관여하는 물질이래요 ... ...
가상인터뷰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시간을 상징하는 동물 인형이 상자 속에서 튀어나온답니다. 구슬의 크기가 1mm만 틀려도
정확
한 시간을 알려 줄 수 없을 정도로 세심하고 과학적인 시계죠.앞으로 계획은 무엇인가요?11월 28일부터 서울 경복궁 내 고궁박물관 지하 1층 전시관에서 시간을 알려 주는 일을 할 거예요! 예전에는 2시간마다 ... ...
천기누설 날름도사 '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거예요. 하지만 쓴맛은 조금 달라요. 쓴맛을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분명하답니다. 아직
정확
하게 밝혀지지않았지만 유전적인 이유가 크다고 해요.의문 3) 어리광쟁이 혀 씨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제가 단맛을 좋아하고 쓴맛을 싫어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어요. 단맛은 보통 칼로리가 많은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