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입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연상시키는 실험 데이터가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유출됐다. 5월 2일 미국 물리학회총회에서는 우주를 지배하는 미지의 입자인 ‘암흑물질’ 때문으로 추정되는 특이한 관측자료가 발표됐다. 불과 20일 전인 지난 4월 13일, ...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114.4GeV/c2보다 크다고 결론지었다(위 표).LEP 이후 힉스 연구의 최전선은 미국 페르미연구소의 테바트론(Tevatron)이었다. 테바트론은 각각 0.98TeV(테라 전자볼트. 1Tev는1000GeV)의 양성자와 반양성자 빔을 정면 충돌시켜 1.96TeV의 충돌에너지를 얻는 충돌장치다. 테바트론과 같은 하드론 충돌장치에서는 ...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있는 거점지구를 보완한다. 거점지구에서 학교와 연구소가 주도하는 기초연구가 진행된다면 기능지구에서는 기업 등 산업계가 기초연구를 응용한 기술을 개발하거나 우수인력을 채용하는 등 기반을 만들어 준다 ... ...
- 겨울잠을 자는 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겨울잠을 자는 모습을 관찰했어요. 흑곰은 수컷 3마리, 암컷 2마리였는데, 북극생물학연구소에 있는 ‘인공 굴’에서 겨울잠을 자게 된 것이지요. 이 인공 굴에는 적외선 카메라와 산소 및 이산화탄소 감지기, 동작 감지기 등이 달려 있답니다. 이런 장비들로 겨울잠을 자는 곰의 움직임이나 체온, ... ...
- "수학의 달, 꼭 만들어 주세요"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수학의 달도 지정됐으면 좋겠다” 고 메시지를 적었다.행사를 주최한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김정한 소장은 “학생들이 점수를 얻기 위해 수학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수학 자체를 즐기길 바란다” 며 “수학적 호기심을 표출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행사가 앞으로 계속 마련돼 수학의 달을 지정하는 데 ...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새 연구소 소장인 튤리오 박사는 제가 꼭 만나야 할 친구가 있다며 절 새장에 가뒀어요. 누군가 제게‘비행’을 배우러 오나 봐요. 아니, 비행을 가르쳐야 하는데, 왜 가두는 겁니까? 친구는 또 무슨 소용이에요, 당장 드넓은 하늘을 날 수 없는데! 제 관심은 오직 비행, 비행뿐입니다.사람들도 ...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있다.[➊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다양한 연구 그룹이 활동 중이다. 아래는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의 ‘엑시온 태양망원경(CAST).’][➋ 최근 윔프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주장한 코겐트(CoGeNT) 텀의 검출 시료인 결정 게르마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Part 1. 우주에 ...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결과가 잇달아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96쪽 기사 참조).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물리연구소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다국적 연구팀 ‘다마(DAMA)’는 1996년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을 이용해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측정기구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7년간의 실험 끝에 계절에 따라 ... ...
- 머리 좋아지는 기계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어깨 같은 곳에 붙이면 된다. 이 방법은 우울증 치료에 이용한다. 미국 뉴욕국립정신의학연구소(NYSPI)의 필립 프레그니 교수는 5일간 하루에 20분씩 tDCS로 뇌를 자극했더니 우울증 환자의 65%가 치료됐다는 연구 결과를 냈다.tDCS의 음극은 중독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2008년 브라질 멕켄지대의 파울로 ...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선수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하고 싶은 일을 해라”로버트 후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명예소장의 강연이 이어졌다. 후버 소장이 단백질 구조 연구를 하게 된 계기도 특이하다.“대학시절 제 취미는 광물을 모으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뚜렷한 육각형 모양의 빨간 석류석을 좋아했죠. 어느 날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