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검은점박이돔의 사례를 인정할 수 없다고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탈리아 인지과학
연구소
의 엘리사베타 비살베르기 박사는 “갈매기도 딱딱한 바닥에 조개를 떨어뜨려 깨 먹지만 이를 두고 도구를 사용한다고 말하지 않는다”며 “이를 일종의 원시도구라 부를 수는 있어도 본래적 의미의 도구라고 ... ...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석유화학공정 중 만들어지는 고분자 물질 ‘나프타’의 일종이다. 김신범 노동환경건강
연구소
산업위생실장은 “시너 등에 많이 쓰였고 정유 공장이나 주유소에서도 노출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대기 중 농도만 규제하고 있다(1m3 공간에 1ppm) ... ...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빙과류는 맛이 확연히 다르다. 이유가 뭘까. 백견이 불여일식(百見不如一食). 빙그레 식품
연구소
아이스크림 개발실 김성택 실장이 건넨 아이스크림을 한 숟가락 떠 먹으며 취재를 시작했다.풍미를 결정하는 유지방“음~.” 아이스크림 특유의 부드러운 크림 맛이 느껴졌다. 정확히 말하면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는 뜻이다. 최종 사용자를 고려할 경우 수학자와 과학자, 공학자가 모여 있는 융복합
연구소
인 수리연이 최적의 기관인 셈이다.오 팀장은“이 연구의 핵심 아이디어는 LIGO에서 힌트를 얻었다”며“실제 관련자료를 분석하면서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LIGO 연구단은 70여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는지를 밝히지 못했다. 발표 당시 기자회견에 참가한 미국 플로리다 주 응용분자진화
연구소
의 스티븐 베너 박사는 “비소가 인 대신 DNA를 잇는 사슬 역할을 한다면 고리가 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므로 DNA가 파괴되기 쉽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다른 분자를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들어갈 수조차 없다니. 장마가 소강이라
연구소
앞바다는 잔잔하고 평화로웠지만,
연구소
는 경비가 삼엄했다. 국가적 관심사가 집중된 자원 생산 시설이라는 사실이 물씬 느껴졌다.“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다른 나라 연구자가 이 시설을 보면 금세 따라 할 수 있거든요. 아이디어가 핵심이에요 ... ...
따로 사는 판다 부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암컷과 수컷이 각각 다른 서식지에 산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국 과학학술원 동물학
연구소
의 둔우 키 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를 ‘동물학저널’ 7월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구체적 개체수를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 쓰촨성 량샹 산 일대에서 그 지역 대왕판다의 90.5%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에 팔렸어요.한 마리에 100만 원인 유전자변형쥐도 있어요. 일본 국립암센터 실험동물중앙
연구소
가 1980년대에 개발한 유전자변형쥐가 그 주인공이에요. 이 쥐는 암 관련 유전자인 ‘라스에이치투(RasH2)’를 없앤 건데 일반 실험용 쥐가 1만 원정도 하는 걸 생각하면 우리를 만드는 게 얼마나 큰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일본 과학자들은 1~2년 전부터 오키나와대와 류쿠대의 아열대
연구소
들의 명칭을 ‘열대
연구소
’로 바꾸고 일찌감치 열대 바다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아열대수산연구센터 장대수 소장은 “기후변화를 극적인 위기로 겁낼 것이 아니라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특히 제주도는 아열대화의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적지 않다. 과연 어떤 말을 믿어야 할지 자세히 살펴보자.3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
연구소
(IARC)는 지난 5월 31일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뇌종양의 일종인 신경교종 (glioma) 발병률을 높인다고 발표했다. 최고 권위기구의 발표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걱정에 휩싸였다. 그러나 이번 결정을 자세히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