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 수컷도 허세 부리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키워 현재의 상대에 집중하게 한다는 이유다.연구팀을 이끈 리버풀대 통합생물학
연구소
의 앤리제 박사는 “우리가 관찰한 초파리의 행동은 인간 남성이 여성을 둘러싼 경쟁에서 느끼는 강박심과 비슷하게 진화해 왔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영국 왕립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 ...
‘다중우주’ 첫 검증, 실패로 끝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영국 런던대 천체물리학과 교수팀은 영국 임페리얼대, 영국 페리미터 이론물리학
연구소
와 공동으로 미국항공우주국의 윌킨슨 우주배경복사탐사선(WMAP)의 7년간의 측정 자료를 검토했다. 그 후 버블 구조 충돌이 있었을 경우와 없었을 경우를 나눠서 각각의 조건을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했다. 그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40~70%로 지구 같은 행성을 20만 개 만들고도 남을 양이다.연구를 이끈 미국 우주망원경과학
연구소
(STSI) 마가렛 마익스너 박사는 “천문학의 스케일에서는 눈 깜짝할 순간에 불과한 20여 년 사이에 이정도 먼지가 생겨났다는 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며 대마젤란은하에서 보이는 먼지의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개발했다. 이 잠수함은 1953년 4049m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했다. 1957년 미국 해군
연구소
는 피카르 교수로부터 트리에스테 호를 사들여 여러 곳을 개조해 트리에스테 2호기를 만들었다. 결국 미 해군은 1960년 세계최초로 바닷속 1만 916m 깊이까지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은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중심으로 갯벌 관광과 체험을 준비 중이다.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생태지평
연구소
의 장지영 연구원은 “생태계는 스스로 자신을 보전할 수 없다”며 “지역 주민이 스스로 생태계의 가치를 알고 지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장 연구원은 “카시마 시 주민들이 갯벌체험행사를 열어서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정원중 박사팀과 극지
연구소
최한구 박사팀이 북극 해양에서 찾아낸 미세조류는 세포분열 속도가 빠르면서도 지질함량도 높아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다만 북극에서 살다보니 적정 생장 온도가 낮다. 현재 에이스하이텍이라는 ... ...
유전자로 과거 인구 변동 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사용돼 한국인이 다른 지역의 인류와 언제 갈라졌는지도 밝혀졌다.영국 웰컴재단 생어
연구소
리처드 더빈 박사팀은 중국인과 한국인, 유럽인, 서아프리카 요루바 족 등 7명의 게놈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킨 유전자를 조사해 인류의 이동 경로와 인구 변동에 관한 결과를 7월 14일자 ‘네이처’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렇다면 도시의 삶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정신건강중앙
연구소
안드레아스 메이어-린덴베르크 교수팀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도시 사람과 시골 사람에게 미치는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도시 사람이 스트레스에 민감하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 ...
해양연 열대해양체험 이벤트 합격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1차 합격자들에게는 소정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❶ 최오하 학생의 장필훈 국립기상
연구소
연구원 인터뷰 모습. ❷ 신윤 학생이 직접 수중 촬영한 갯녹음 현상.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과학의 역할까지 되돌아 보게 하는 개성 있는 물리학 개론서다. 저자는 유럽입자물리학
연구소
(CERN) 연구원 출신으로 현대 물리학에 해박하다. 그는 점점 거대하고 복잡해지는 과학을 비판하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안겨줄 수 있는 느리고 보편적인 과학을 주장한다. 그래서 선택한 기술은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