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
과학동아
l
199908
숙련된 필살기는 SP 소모량이 적게 들어 여러차례 필살기를 쓸 수 있다. 플레이어의
에너지
는 체력인 HP와 특수능력인 SP로 나타난다. 물론 레벨업할 때마다 수치들이 증가한다.3. 3D액션게임 - 레인보우63D 액션게임의 원조는 ‘울펜스타인’이다. 지금 보면 그래픽도 조잡하고 움직임도 ... ...
더위야 물럿거라
과학동아
l
199908
냉장고가 없는 곳에서도 시원한 음료수를 먹을 수 있는 비법을 공개한다. 원리는 의외로 간단. 흡열반응을 이용한다는데···■왜 그럴까?연소 ...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
를 주위로부터 빼앗으므로 온도가 내려간다. 대표적으로 필요한
에너지
를 햇빛에서 얻는 녹색식물의 광합성이 그 예다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08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즉 회로가 만들어진 상태에서는 전기
에너지
가 발생한다.이 전기
에너지
가 충격이 돼 혀의 미뢰를 자극하는데 사람들은 이를 쓴맛으로 느낀다. 스테인리스 스틸 수저에 비해 은수저로 실험했을 때 더 쓴맛을 느낀다. 그 이유는 철보다 은이 알루미늄과의 반응성 차이가 커서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08
달라진다. 뚱뚱한 사람이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음식을 많이 먹듯이 무거운 별은 강한
에너지
를 내면서 내부의 물질을 빨리 태워버려 그 만큼 수명이 짧다. 질량에 따라 수십만년에서 길게는 수백억년을 살기도 한다.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수명은 1백억년 정도이다. 태양과 비슷한 별들은 생의 ... ...
자연의 기본물질 쿼크
과학동아
l
199908
겔만이 제안한 쿼크의 존재는 1969년 미국의 스탠퍼드선형가속기연구소에서 전자를 높은
에너지
로 가속시켜 수소원자핵 안에 있는 양성자와 충돌시킨 결과 확인됐다. 그 덕에 겔만은 그해 12월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쿼크의 존재를 실험으로 입증한 리처드 테일러(1929-), 헨리 켄들(1926-1999), 제롬 ... ...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08
중화학공장, 도시가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산업과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
를 공급한다는 점과 함께 자칫 사고라도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엄청난 결과를 낳는 대상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다른 어떤 산업설비에 비해 각별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하지만 한국은 성장 위주의 정책을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08
열
에너지
를 빼앗듯이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식도와 위를 지나면서 내장기관의 열
에너지
를 빼앗기 때문이다. 우리가 시원하다고 느끼는 이유다.그래서인지 아이스크림뿐 아니라 찬음식을 많이 먹으면 배탈난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김영호(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교수는 과민성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08
떨어뜨리기 시작한다. 시합날에 이르면 선수들은 몸이 ‘근질근질해져’ 당장이라도
에너지
를 분출하고 싶은 욕구가 최고로 치솟는다고 한다. 물론 오랜 경험에 의해 내려진 훈련방법일 뿐 과학적 이론을 갖춘 것은 아니다.아전인수 해석은 곤란지난 1984년 현직 의사로서 ‘바이오리듬’이란 책을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7
크기의 문제도 있다. 날카로운 칼날 모양으로 플라스마를 가두기 위해서는 막대한
에너지
를 공급하는 장치,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 시스템, 플라스마 발생 장치 등이 필요하다. 이것을 광선검의 손잡이에 모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지는 의문이다.⑤ 갖가지 모양의 우주 비행선‘에피소드Ⅰ’의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07
원자력발전소가 담당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자연 상태에서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
에너지
를 이용하는 수력은 말 그대로 자연이 협조하지 않으면 생산량을 늘릴 수 없고, 태양열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은 대단위 전력생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력 수급계획도 이런 상황을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