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11
강수를 유발하는 대류 현상이나 구름응결과 강수과정, 그리고 태양과 지구의 복사
에너지
의 전달과정 등과 같은 기상현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돼 있다.수치예보모형을 이용한 21세기의 기후예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물론 21세기의 기후를 예측하는데는 과거의 기상자료로부터 얻을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11
더 많은
에너지
를 장파 복사로써 외계로 방출한다. 즉 사막 위의 공기는 복사로
에너지
를 잃고 있는 것이다. 이 때 복사 냉각으로 기온이 내려가고 공기는 하강한다. 사막은 뜨거우므로 상승 기류가 있어야 하고, 비가 안 오는 것은 워낙 공기가 건조해서 그럴 것이라는 생각은 오해다.사막이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11
천J의
에너지
가 필요하므로 1/180몰에는 약 2백30J의 기화열이 필요하다. 1분 당 8J의 태양
에너지
가 도달한다면 이 물이 다 증발하는 데는 약 30분이 걸린다. 실제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30분(1천8백초)에 1mm의 물 층이 기화한다면 1초에 약 5천6백 옹스트롬(Å)의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11
에너지
는 방향에 대한 의존성이 없어서 회전에 대하여 변함이 없지만, 가장 낮은 상태의
에너지
는 방향에 의존하게 될 때 회전에 대한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어졌다고 한다.이와 비슷한 방법을 표준이론에 도입했다. 그 결과 게이지 입자는 질량을 얻게 되고, 게이지 원리는 깨진다. 그러나 게이지 ... ...
블랙홀 충돌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199910
최근 막스 플랑크 연구소 블레그만 박사팀은 질량이 다른 블랙홀이 충돌하며 거대
에너지
가 중력파의 형태로 방출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두 블랙홀이 방출하는 충력파을 잡아내는데 슈퍼컴퓨터의 3차원 시뮬레이션이 한몫했다. 아쉽게도 슈퍼컴퓨터의 용량한계로 중력파 산의 완벅한 증거와 같은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10
그러나 감마선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로 막아야 할 정도다. 투과력이 큰 방사선일수록
에너지
가 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이해하면 된다.그런데 불행하게도 지구에서 살아가는 인간이나 생물은 이러한 방사선을 피할 수가 없다. 자연계에 너무나 많은 방사선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자연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10
목소리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비해 굵고 낮기 때문에 파장이 길다. 따라서 남성의 소리
에너지
는 여성에 비해 자궁 안에 더 많이 전달되는 것이다.물론 태아가 아버지의 말이 무슨 의미인지 깨달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태교에서 아버지의 목소리는 다른 여성(예를 들어 할머니나 이모)의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10
1백93nm(1nm=${10}^{-9}$)의 파장을 가진 방출광이다. 이 물질 원자의 들뜬상태와 기저상태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빛을 이용한 것이 엑시머레이저이다.레이저는 각막 조직에 닿았을 때 각막 조직의 분자결합 부위만을 파괴해 조직의 표면에 열손상을 주지 않고 정확히 조직을 절제할 수 있으며, 절제된 ... ...
시각정보 전달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10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눈의 광수용체세포 말단에서 검출했다. 눈에 의해 포획된 빛
에너지
는 신경신호로 변형되고 두뇌의 시각 중추에 전달된다. 빛을 감각하는 부분은 눈의 망막이다. 망막은 낮에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10억개의 광자에 충격을 받고, 어둠 속에서는 단지 몇개의 광자만이 눈의 망막을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10
그 기능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다.최재천 교수는 인체가 제대로 작동하는데 필요한 예산(
에너지
)이 일정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만일 한쪽 기능이 너무 발달하면 이를 감당하기 위해 평소보다 많은 예산이 투여되기 때문에 다른 어딘가에서는 예산 부족으로 인해 ‘적신호’가 울릴 것이라는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