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근처 수억광년 이내에 은하들의 분포를 알아보자. 어두운 밤하늘에는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외부 은하들이 1천억개 이상 흩어져 있다. 이 은하들은 약 1백50억년간의 긴 시간 동안 서로 중력에 의해 상호작용을 하면서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이로 인해 천구상에서의 은하들의 분포는 ...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1992년 07호
- 1분에 8억원씩 까먹는 셈이다.발사장소에서 마지막 낙하지점(바다)까지의 거리는 1백4km. 관측장비 등 일단 쏘아올린 물체는 전혀 회수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켓이 올라가는 동안에 지상의 수신장치에서는 로켓으로부터 날아오는 모든 데이터를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받아들여야 한다. 만에 하나 ...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10}^{27}$g이 된다. 케플러의 천재성 17세기 초 케플러( kepler )는 브라헤(Brahe)의 육안 관측 자료를 정밀하게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세가지 행성운동의 법칙을 발표했다.1. 타원 궤도의 법칙 : 행성은 태양 주위를 타원을 그리며 공전하고 있다. 타원에는 2개의 초점이 있는데 태양은 이 중 어느 ...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가스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매우 에너지가 높은 X선 감마선도 관측됐다. 특히 전자와 양전자의 결합에서 방출되는 감마전이 발견됨으로써 이 지역에서 전자-양전자쌍을 만들 수 있는 격렬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모든 현상의 중심부근에 '궁수 A' ...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모든 성능테스트가 달표면에서 이루어진다.6월/경계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한 우주관측은 지구와는 다르게 대기가 없는 달표면에서 이루어진다. 허블망원경을 지구 대기 위에 쏘아올렸듯이 앞으로는 달천문대가 탄생할 것이다. 각막염에 걸린 환자가 수술 후 새세상을 볼 수 있듯이 인류는 ...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산개성단,7. M 22(NGC 6656, RA 18h 36m, Dec -23˚54') 5등급 정도의 구상성단으로 쌍안경으로 관측하기 좋은 대상이다.8. M 54(NGC 6715, RA 18h 55m, Dec -30˚29') 8등급의 구상성단.9. M 55(NGC 6809, RA 19h 40m, Dec -30˚58') 8등급의 구상성단.10. M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방금 얘기한 세가지의 경로는 이론적으로도 이미 잘 정립된 상태이고 여러가지 실험관측으로도 그 정당성이 확인됐다. 아직 태동단계혼돈은 비선형현상의 독특성을 대변하는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다. 비선형현상의 연구는 최근 20여년에 걸쳐 실험적 관찰, 컴퓨터를 이용한 고속 계산, 수학적 ...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상호협력관계를 다지고 있다.첫째로 우주에서 온 신호는 비록 하찮은 것이라도 여러 관측소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세밀하게 분석돼야 한다. 아레시보의 안테나에 잡힐 우주의 전파정보가 세티(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우주인을 찾는다는 뜻) 슈퍼컴퓨터에 막바로 연결되는 것도 바로 이 ...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과학동아 l1992년 06호
- 만약 바닥이 그냥 진동하는 정도가 1만이라면 ${10}^{-2}$ 이하의 초방진이 확보돼야 STM의 관측 자료는 믿을만한 것이 된다.또한 연구팀은 액체헬륨을 사용해 제논원자를 절대온도 4K까지 냉각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원자의 요동을 막았다. 그 결과 0.002Å만큼 미세한 원자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었다 ... ...
- 신혜성 「슈메이커─레비」 곧 등장과학동아 l1992년 06호
- 6월부터 8월 초순에 걸쳐 우리는 새로운 혜성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90년 우리들에게 멋진 모습을 선사했던 오스틴혜성(1989 C1, 1989년에 발견)과 레비혜성(1990 q) 이후 ... 보이게 되면 사진과 함께 후속 기사를 게재할 예정이다. 현재 예상되는 관측시간과 관측조건은 아래와 같다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