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에는 조선 선조25년, 1592년 11월 28일에 미라의 발견 기록이 나온다.)그후 이 별은 계속적인
관측
으로 신성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그 주기도 정밀하게 조사됐다. 이 별을 고래자리 오미크론(O)별로 기록한 사람은 1603년 역시 독일 사람 베이어(J. Bayer, 1572-1625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어둡게 보일 것이다.우리 박사는 독일에서 동료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하늘에서
관측
가능한 활동적인 전파은하의 경사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녀는 현재까지 "그러한 테스트는 만족할 만하다"고 말한다. 완전무결은 아니지만위에서 말한 것이 이 모델이 완전무결하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더욱 중요한 점은 비행선이 급변하는 기상 조건 아래서 얼마만큼 움직이지 않고 정밀한
관측
과 탐사를 수행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아무리 고도의 장비를 실었어도 비행선이 흔들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는 지난 87년 기계연구소에서 8×3m 크기의 무인 비행선3대를 만들어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진화되었는가에 대한 연구활동이다.이에 버금가는 또다른 연구 줄기는 망원경을 통해
관측
된 물질(빛을 발하는 물질) 또는 빛을 발하지 않는 암흑물질(dark matter)들의 공간적 분포가 얼마만큼 인플레이션 이론을 뒷받침해주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다. 이를 위해선 대규모의 대형컴퓨터 이용시간과 ... ...
2 해류·바람·환경오염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회전하고 있다. 이와같이 저궤도 지구 탐사 위성들은 전 지구 표면을 거의 비슷한 시간에
관측
할 수 있어 대기의 변화상태, 구름 및 강우의 분표 해류의 흐름, 바다의 표면 변화 그리고 곡물 및 산림자원의 상태를, 공간적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까지도 조사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스카이랩은 비록 문제가 다소 있었지만 임무수행을 충실히 해 지구와 태양, 우주
관측
을 통하여 많은 자료를 제공했으며, 특히 무중력상태에서의 인간활동에 대한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증명했다.스카이랩은 임무완료 시점에서 궤도를 높여 계속 사용할 계획을 세웠으나 궤도를 높여줄 ... ...
안정된 자세로 임무 수행 순조로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않았다. 아리안 로켓의 주빈은 우리별이 아니고 프랑스와 미국이 합작해 만든 해양
관측
위성인 토펙스 포세이돈이며 우리별은 '차려진 잔치상에 숟가락 하나 더놓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우리 국적을 가진 첫 위성의 의미가 반감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계기로 우리도 본격적인 인공위성을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
관측
」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똑같은 조건으로
관측
을 계속했을 때 변화되는 오염도와 상관관계를 추적한다면 별자리
관측
을 통한 간접적인 대기오염도 측정은 매우 과학적인 근거를 갖게될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 중요한 변수는 날씨의 변화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남기는 하지만요.이혁 무엇보다도 행사를 하게 되면 그 ... ...
6 인공위성 수명 어떻게 결정되나? 태양전지판과 추력장치가 핵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올려지며 그후에 자체에 달린 추력장치를 사용해서 좀 더 높은 곳으로 가게된다. 지구
관측
또는 과학실험 등의 임무를 가진 인공위성은 주로 지구에서 4백~1천2백㎞의 '지구저궤도'로 약 한두시간에 한번씩 지구를 돌게 된다. 방송 또는 통신 등의 임무를 가진 인공위성은 지구중심에서 3만5천8백㎞의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근무하는 조상호씨가 도움을 주어 가이드 촬영을 수월히 마칠 수 있었다고
관측
일지에 적었다.서울과 가평은 4배 이상 분석은 필름과
관측
일지가 다 모이고 현상이 끝난 8월9일 서울 여의도 '과학동아' 회의실에서 진행됐다. 분석팀은 이 행사와 자문위원인 박석재 박승철 이혁기 조상호씨와 간사인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