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하지 않는가. 하지만 이 역시 착시효과일 뿐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탈리아 파도바대 심리
학과
파올라 브레산 교수는 부모와 자식이 닮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제로 닮은 것이 아니라 부모와 자식간이니 만큼 유전적으로 강한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 나온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심리과학’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박사후 연구원1990년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
학과
조교수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
학과
교수 꽃 보고 책 보던 소녀봉숭아, 채송화, 분꽃, 접시꽃, 나리꽃…, 계절마다 가득 꽃이 핀 마당에 삐약삐약 병아리와 꽥꽥 오리, 멍멍 강아지가 뛰어 놀고 있어요. 마당 한 켠에서 봉숭아꽃을 꽁꽁 빻아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된다”고 말했다.시각세포는 가로를 좋아해가로본능이 실제로 있긴 한걸까. 서울대 심리
학과
이춘길 교수는 “그렇게 볼 수 있다”고 말한다. 태어날 때부터 가로에 대해 생득적 경향이 있고, 여기에 교육 등 후천적 환경이 더해진 가로본능이 있다는 것.지난해 이 교수는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레드 우울증을 깨우다정신병원이나 대학 심리
학과
에서 사이코드라마를 공연할 때 우울증이 심한 환자에게는 붉은 색 조명을 비춘다. 이렇게 하면 각종 감각이 둔해져 반응이 더딘 환자의 민감성이 증가한다. 동공은 수축되고 근육이 긴장하며 호흡이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이탈리아의 한 젊은이 때문이었다.그의 이름은 굴리엘모 마르코니였다. 어릴 때부터 물리
학과
전기에 관심이 많았던 마르코니는 1886년 이탈리아의 유명한 물리학자 리기 교수의 실험실에서 일하던 중 리기 교수가 헤르츠의 전파실험을 재현하고 있는 것을 보고 전파라는 말을 처음 듣게 된다.1894년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발자국 화석을 동시에 연구하기에 최적의 장소다.”-미국 캔자스대 생태진화생물
학과
래리 마틴 교수“한반도 남해안은 공룡의 군집생활과 번식을 연구하는데 최적의 요지다.”-미국 남부감리대학 루이스 제이콥 교수(前 세계척추고생물학회장)“조만간 한반도에서 세계 공룡사를 뒤흔들 화석이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비타민C가 무조건 좋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연세대 식품영양
학과
이양자 교수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라이너스 폴링 교수로부터 비타민C ‘신봉론’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폴링 교수는 비타민C가 감기에 효과가 있고 많이 섭취할수록 좋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는? 아마도 ‘뇌’일 것이다. 뇌는 수천억개의 뉴런(신경세포)이 다시 수천조개의 시냅스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다. 현재 수준에서 뇌에 대한 이해는 아직 초보단계일 뿐이며, 아주 부분적인 영역과 방법에 한해서만 연구가 진행돼왔다.뇌의 각 영역이 어떤 기능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일제히 집중됐다. 지난해에 이어 또한번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일을 낸’ 서울대 수의
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기자회견이 열렸기 때문.황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얻어냈다. 이를 질환 부위에 이식하면 건강한 세포로 자라나 난치병을 치료할 수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화
학과
박사1984-1985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박사후 연구원2001-2002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재료
학과
초청교수2001 과학기술부 이달의 과학자상 수상2004 제3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선정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표면그룹 책임연구원현재 나노바이오측정제어기술사업단 단장나노로 본다구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