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있을 것이다.한국고등교육재단 김재열 사무총장과 고려대 국제교육원 염재호 원장(행정
학과
교수)은 7월 26일 남바린 엥흐바야르 몽골대통령과 만나 유적 발굴을 포함해 한국과 몽골 간 학술적 교류에 적극 협력할 것을 합의했다. 마침 내년은 칭기즈칸이 왕으로 추대된지 800년인 해이기 때문에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것이다. 평소 아무렇지도 않던 게 왜 무서워질까. 공포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고려대 심리
학과
최준식 교수는 “영화가 끝나도 일상생활에서 같은 시청각 자극을 계속 접하게 돼 공포의 여운이 오래 남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일상 소재가 공포에 ‘현실감’을 더한다는 얘기.심리학을 전공하고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2. 미래는 과학이 바꿉니다.3. 글로벌한 사람이 되세요.4. 과학에만 매달리지 말고 철
학과
예술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해 상상력을 키우세요.5. 어린이 같은 질문이 가장 훌륭한 질문입니다. 호기심을 잃지 마세요.6. 호기심을 따라 점점 들어가면 사회도 세상도 우주도 보이고, 우리의 삶도 알게 됩니다 ...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통해 청소년의 다양한 과학 호기심을 해결해주는 지식Q&A와 청소년의 이공계에 대한
학과
, 진로, 취업 등을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직접 응답해 주는 온라인진로상담센터도 인기가 높다.과학 상식 사이트 ‘사이언세셔널’ www.sciensational.com태양계 행성 중에서 하루가 가장 긴 행성은 어떤 행성일까.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혜성의 궤도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의미는 적지 않다.경희대 천문우주
학과
김상준 교수는 “아주 먼 거리에서 혜성에 충격을 주면 충격이 작아도 지구에 다가올 때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며 이번 실험의 의의를 설명했다.과거 지구에 떨어진 혜성과 소행성은 지구의 수많은 생물을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고대 그리스의 웅변가 데모스테네스는 계단을, 로마의 통치자 시저는 어둠을 무서워했다. 세계적인 문호 셰익스피어는 고양이를, 철학자 파스칼은 바깥으로 나오는 걸 두려워했다. 이렇게 뛰어난 사람들도 ‘공포증’에 시달렸다. 이 사실만 봐도 공포증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기도, 자신의 의지대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생물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
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시각 또는 어떤 장소에서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 ...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스며들게 하는 ‘나노잉크’가 바로 현재 개발 중인 야심작.국내 패션업계와 의상 관련
학과
에는 디지털 염색기법이 이미 상당히 ‘전파’돼 있다. 잘 알려진 패션 브랜드 ‘쌈지’의 ‘딸기’ 디자인에도 이 기법이 사용됐다. 패션업체 ‘한성’의 컬러리스트 류정희씨는 “디지털 염색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등으로 데이터를 충분히 쌓으면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서울대 교육
학과
신종호 교수는 적성검사의 효과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다.“많은 학생들이 적성검사를 받지만 그 결과만으로는 자신이 선택하려는 직업을 갖기 위해 무슨 준비를 해야 하는지 모릅니다. 적성검사만으로 ‘내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감전공포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늘어날 수 있다.공포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는 아주대 심리
학과
김은정 교수는 “현대에 와서 공포증 종류가 증가한 건 사실”이라며 “미디어가 발달하고 각종 불안요소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아주대 심리상담센터의 경우 공포증 때문에 찾아오는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