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관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길들인 동물에서 보이는 쾌활하고 싹싹한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쾌락중추에 작용하는 도파민 경로는 뜻밖에도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세로토닌과 글루타메이트 경로 관련 유전자가 차이가 있었다. 여기에 관여하는 뉴런 역시 성격이나 학습,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 결과 SPZ-PVN는 30분에서 4시간 주기의 울트라디언 리듬이
큰
진폭으로 나타난 반면 SCN에서는 칼슘 농도가 일주리듬을 따랐고 울트라디언 리듬은 진폭이 작아 자세히 봐야 그 존재를 알 수 있었다. 톱날이 연상되는 패턴이다. 이는 SPZ-PVN에서 울트라디언 리듬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확장되는 흥미로운 정서적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숫자가 늘어납니다.
큰
아버지와 작은 아버지, 외삼촌 등 여럿의 아버지가 생깁니다. 고모나 이모 등 ‘어머니’의 숫자도 확 늘어나죠. 형제자매의 규모도 갑자기 불어납니다. 형도 많아지고, 누이도 많아집니다. 핵가족이 보편화된 현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두 부분으로 정리해 따로 붙이면 된다. 최근 성선택이 자연선택만큼이나 진화에서
큰
역할을 했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다. 만일 다윈이 성선택을 다룬 2부를 ‘성선택’이라는 독자적인 제목의 책으로 냈다면, 지금쯤 ‘종의 기원’만큼이나 지명도가 높은 책이 돼 있지 않을까. 1871년 찰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내가 뭘 모르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 질문해보았다. ‘내가 뭘 좀 모르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 사실 당연한 게 아닐까? 내가 뭐라고 나는 나한테 완벽을 요구하는가 너무 오만한 게 아닌가?’ 이런 질문을 하다보니 어느새 내가 종종 삽질하는 건 사실 너무 당연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궁금한 인간형 FOXP2의 영향력 자기 길들이기 또는 사람에 의한 길들이기로 사회성이
큰
쪽으로 바뀌었다 하더라도 결국 언어구사능력을 획득한 건 사람뿐이다. 즉 늑대가 개가 돼 인류와 3만 년을 사는 동안 눈빛만 보고도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는 사이가 됐다지만 여전히 언어능력은 습득하지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인사는 심해도 너무 심하다. 과기부 소속 및 산하 기관들도 직간접적으로 인사에
큰
영향을 받아 왔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이 4일 공개한 ‘공공기관 친문 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 중 과학기술 분야에서 부적절 인사 의혹을 받은 기관별 직위에 대한 바른미래당 측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제공) 지난 2월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지네의 독액에서 덩치
큰
동물을 쓰러뜨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과 그 표적인 생체분자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SsTx라는 아미노산 53개로 이뤄진 펩티드가 KCNQ라는 부류의 칼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기능을 못하게 만든다. KCNQ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그 중 ‘초등학교 입학’이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해내는 일이지만 나에게는
큰
변화였고 두려운 시간들이었다. 타인에게 네가 하는 것이 참 쉬워 보인다고 얘기하는 것이 실례인 것처럼 나에게도 이렇게 쉬운 걸 못하냐고 질타하는 것 역시 실례일 것이다. 뭐 하나 쉬운 게 하나 없다는 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것이다.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처럼 모처럼 취지가 좋은 정책을 발표했음에도
큰
호응을 얻지 못한 건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이 부족한 것도 한 이유로 보인다. 정책 입안자들이 ‘우리 몸 연대기’를 읽었다면 좀 더 거시적인 안목에서 정책을 설계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이 과정에서 리버먼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