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79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했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있었다”며 “이번에 설계한 IL-2 단백질은 안전하고 효과가
큰
면역항암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세계폐암학회’에서는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임핀지’의 폐암 환자 임상3상 ... ...
2040년 메이드인 코리아 수소차 620만대 전 세계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계획이고 대규모 발전을 위한 수소가스터빈도 2030년 이후 상용화한다. 수소경제의 가장
큰
난제로 꼽히는 수소 생산을 위한 청사진도 내놨다. 석유화학공정에서 나프타를 처리할 때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수소를 의미하는 ‘부생수소’와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생산한 수소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상체가 발달해 있고 팔이 길고 근육량도 많아 힘이 사람의 두 배가 넘는다. 덩치가
큰
고릴라 수컷은 대여섯 배에 이른다. 1대 1로 붙으면 사람이 고릴라는 물론 침팬지의 상대가 되지 않는 이유다. 물론 걷고 달리는 데는 이들이 우리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 사람은 먹을 것을 구하려면 오랜 시간 ... ...
스페이스X 새 우주왕복선 공개한 날 직원 600명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인력 감축을 감행한다는 것은 그동안 스페이스X가 취해온 주요 전략과 기술적인 도전에
큰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스페이스X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도전적인 우주개발 계획을 많이 내놨지만 이를 실현할 자금 조달방안이 구체적이지 않다는 비판을 꾸준히 받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블랙홀 진화와 코로나 감소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블랙홀이 제트를 방출한 후에 코로나의 크기가 줄어든 반면 강착원반의 크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를 근거로 코로나의 수축과 제트가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있는, 과도한 자존감이라고도 이야기 되는 ‘나르시시즘’이 음모론에 대한 믿음과 더
큰
관련을 보인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약 100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음모론을 믿는 정도, 자존감, 나르시시즘(자기애), 사람들을 쉽게 의심하고 타인의 의도를 나쁜 방향으로 해석하는 편집증 또는 ... ...
[국가우주위]① 국가는 수요발굴·창업 지원, 기업은 연구개발...우주개발 민간化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계획이다. 우주에서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지원도 담겼다. 과기정통부는 시장이
큰
위성서비스 산업을 촉진하기 위해 위성영상정보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2020년부터 접목한 데이터세트를 개발하고, 2023년에는 국가 위성정보를 클라우드로 서비스할 계획이다. 위성영상 보안규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딘 교수와 협력한 뒤에야 간신히 성공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차오위안이 더 대단한 건
큰
좌절을 극복하고 이런 대발견을 해냈기 때문이다. 과학영재인 차오는 불과 18살에 허페이 중국과기대를 졸업하고 명문 MIT로 유학을 왔다. 그런데 하필 이 해에 물리학과에 대학원생 정원이 다 차 받아줄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리소비치아 보자니로 명명된 이 동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디키노돈트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큰
종으로 확인됐다. 리소비치아 보자니의 길이는 4.5m, 키는 약 2.6m로 무게는 약 9t이다. 다른 디키노돈트 보다 40%가량 더 크다. 티라노사우르스와 같은 거대한 육식 수각류 공룡 못지않은 몸체를 가진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넘어 바다까지 진출한 플라스틱 폐기물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미생물에 의해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이 시급해진 이유다. -사진 제공 블루픽셀이미징 ‘플라스틱의 역습’이라는 말이 떠오르는 한 해였다. 미세플라스틱이 바다 생물의 목숨을 위협하고 식탁까지 침범해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