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으아악! 어떡해. 이러다 상어 떼에게 잡아먹히겠어!”그때, 채윤이가 무언가를 생각해 냈어요.“우리가 얻은 그 아이템 말이야. 그걸 이용하면 지금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지도 몰라.피젯 스피너에 끼워서 한 번 돌려 보자!”채윤이는 주머니에서 아이템을 꺼내 피젯 스피너에 끼웠어요. 그리고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두 행성 내부의 엄청난 열과 압력으로 탄소가 다이아몬드로 변한 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를 실제로 확인할 수 없었지요.2017년, 독일과 미국, 영국 국제공동연구팀은 천왕성과 해왕성의 내부 1만km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실험해 봤어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수호와 채윤이를 지켜보던 아저씨는 혼자만의 생각에 잠겼어요. 그러다 갑자기 무언가 생각난듯 주머니에서 노트를 꺼내 채윤이와 수호가 해결한 미션들을 열심히 적었지요. 그때 수호가 아저씨 곁으로 다가왔어요. [스토리 따라잡기] 거꾸로 치는 파도에서 빠져 나와라! “뭘 적고 계신 거예요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방법이지요. 윗 부분은 납작하고 아래로 갈수록 뾰족한 모양으로, 우리가 다이아몬드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형태랍니다.하지만 모든 다이아몬드를 브릴리언트 컷으로 깎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다이아몬드 원석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구, 물방울, 육면체 등 여러 모양으로 가공한답니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 피노키오, 모순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그의 말은 거짓말일까요? 이번엔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가 거짓말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이것이 거짓말이라면 피노키오의 코는 길어져야 돼요. 왜냐하면 피노키오는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니까요. 하지만 피노키오가 거짓말을 해 코가 길어진다면 “제 코가 곧 길어질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밀키가 빨간색을 인식하면 춤을 춘다’라는 조건문을 만든다고 생각해 봐요. 밀키가 파란색이나 초록색을 인식하면 ‘밀키가 빨간색을 인식한다’는 조건이 거짓이 되므로 밀키는 춤을 추지 않아요. 반대로 밀키가 빨간색을 인식하면 조건이 참이 되므로 밀키는 춤을 추지요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있었죠. 과학자들은 이 식물이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식충식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2. 누가 가장 많이 먹을까? 최고의 대식가 식물은?2009년 필리핀의 팔라완섬에서 발견된 ‘네펜테스 아텐보로이(Nepenthes attenboroughii )’라는 벌레잡이통풀은 포충낭의 길이가 30cm에 입구의 ... ...
-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가요?구애춤의 모양은 게가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용도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또 주변의 밝기, 포식자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질 거라고 추측하고 있지요. 앞으로는 농게가 사는 환경과 비슷한 가상 세계를 만들어 놓고 구애춤의 모양이 어떤 요인에 의해 달라지는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맞지? 대단해!”수호가 방금 본 광경을 믿을 수 없어 하면서 소리쳤어요. 채윤이가 뭔가 생각 났다는 듯 피젯스피너를 돌리자 환한 빛이 나며 백혈구가 사라졌기 때문이에요.“수호야, 여기 뭔가…. 반짝이는 게 있어.”백혈구가 사라진 곳에는 작고 동그란 원판이 보석처럼 빛나고 있었어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디지털의 반댓말은 ‘아날로그’예요. 둘의 차이는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를 생각하면 쉬워요. 디지털 시계는 시간을 정확히 떨어지는 숫자로 표시해요. 31분, 32분, 이렇게 구분해 표시하지요. 반면 아날로그 시계는 바늘이 있어 시간을 연속적으로 표시해요. 아날로그 시계의 바늘은 31분과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