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오후 3시 이전에 공주가 돌아온다는 쪽에 건 사람들은 오후 1시가 됐을 때 남은 2시간 동안 내기에서 질까봐 전전긍긍하는 반면 반대쪽 사람들은 내기에서 이길 확률이 높아진다고 느끼거든요.그렇지만 그건 내기에서 질까봐 불안해하는 상황을 피하고 싶은 사람들의 생각일 뿐이에요. 오후 3시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국현 서울대 의대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염소 태아를 48시간 동안 키우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실험을 주도했던 송 교수는 “현대 의학으로 28~29주에 태어난 아기는 거의 모두 살릴 수 있다. 그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도 생존 가능성은 조금 낮아지지만 충분히 가능하다. 우리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다양한 곤충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애벌레들이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소금의 37%가 여기에 속한다. 같은 천일염이지만 석회질의 바닥에 바닷물을 가둬 수개월 동안 건조시키는 방식이라 그 과정에서 대부분의 미네랄이 빠져나간다. 암염과 대규모 천일염 등을 다시 녹인 뒤 염화나트륨만을 정제한 것이 꽃소금이라고도 부르는 재제염이다. 이온 교환막을 이용해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어바나-샴페인,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지난 1000년 동안의 음악을 매우 사랑한다.최석영_seokyeong.choe@gmail.com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박사과정 연구생.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가고 싶어 물리학을 택했다. 물리와 수학을 복수전공했고, 주말에는 중고등학생들에게 물리를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안내한다.스탠퍼드대에서 진행되는 ‘STEAM 몰입 워크숍’은 스탠퍼드대 기숙사에 4일 동안 머무르며 4차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로봇공학과 코딩, 3D프린팅 교육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지 학생들과 함께 조를 이뤄 3D프린터를 직접 조립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을 체험하고, 아두이노를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원활하게 공급됐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인 빵 역사는 지금까지 약 70년 동안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하지만 아시아의 모든 나라가 서양으로부터 빵과 제빵 기술을 전해 받은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밀을 재배했으며, 밀가루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 중국과 왕래가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만드는 데 적합한 효모는 반죽에 섞여 있는 상태에서 발효를 잘 시켜야 하고, 발효 과정 동안 향긋한 성분과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내야 하며,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빵을 부드럽고 촉촉하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2011년, SPC 그룹은 30년 넘게 효모를 연구해온 서진호 교수팀과 손을 잡았다. 서 교수팀은 ... ...
-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것이고요! 에필로그 데이브 브루벡을 듣고 재즈피아노를 배우러 갔습니다. 한 달 동안 코드 연습만 했습니다. 이제 배운 코드를 바탕으로 멜로디에 맞게, 내 취향에 맞게 조금씩 변형하면 됩니다. 타고난 리듬이 부족했나봅니다. 아아. 즉흥연주가 이렇게 어려운 줄 몰랐습니다. 듣는걸로 ...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매듭을 지은 신발끈을 충돌하는 진동자에 연결해서 앞뒤로 흔들며 실험한 결과, 걷는 동안 작용하는 두 종류의 힘이 매듭을 풀어지게 만드는 것도 확인했다. 특히 신발끈 끝에 물체를 달아서 무게가 커질수록 풀어지는 빈도가 많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데일리-다이아몬드 연구원은 “매듭에 직접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