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게임"(으)로 총 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2015.12.30
- 사회과학, 진화생물학에도 적용되면서 영향력이 커졌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벌이는 게임에서 A, B 두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자. 나와 상대 둘 다 A를 택하면 내 이익이 2다. 내가 A를, 상대가 B를 택하면 내 이익이 0이다. 내가 B, 상대가 A를 택하면 내 이익이 3이다. 둘 다 B를 택하면 내 이익이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011년 개봉한 영화 '생존게임 247℉'는 사우나에 갇힌 사람들의 필사적 탈출기를 그린 영화다. 영화에서 정상체온 36.9도의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온도를 120도로 상상한다. 물이 끓기 시작하는 100도, 영하 10도 까지 떨어지는 겨울철 기온, 40도 안팎의 뜨끈한 목욕물 등이 우리가 익숙하게 접할 ...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2015.06.15
-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라는 옛사람들의 말이 떠올랐다. 1950년 22살 때 발표한 게임이론으로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내쉬는 수학분야의 노벨상이라는 아벨상 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아내 알리샤와 함께 노르웨이를 방문해 상을 받고 귀국해 택시를 타고 자택으로 가다가 그만 ...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IBS l2015.05.06
- 비극적이고 안타까운 죽음이었기에, 리 박사의 고국에서는 그가 미국과 고국의 정치 게임의 희생양이었다는 '음모'를 제기하는 소설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리 박사는 서서히 미국에서도 고국에서도 잊혀 갔고, 그를 '벤 리'라는 애칭으로 불렀던 물리학자들의 기억에만 어렴풋하게 남게 됐다. ...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KISTI l2015.03.03
- 스마트폰으로 무언가를 열심히 하며, 잠깐 쉬는 시간에도 휴식이라는 이름 아래 게임을 주로 즐긴다. 하루 종일 끊임없이 뇌를 통해 무언가를 하기 바쁜 현대인들에게 잠깐씩의 멍 때리기가 절실한 셈이다. 멍해 있는 것은 뇌에 휴식을 줄 뿐 아니라 자기의식을 다듬는 활동을 하는 기회가 되며 ...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IBS l2015.02.24
- "게임을 하면서도 연구 성과를 내면 어느 정도 인정해줄 줄 알았어요. 하지만 '게임을 할 시간에 연구를 더 했으면 더 큰 성과를 냈을 것'이라는 질책만 듣고 있죠. 하하하." IBS 연구단의 일원으로 책임감과 부담감이 커 일본 SACLA 4세대 가속기 연구소에서 실험 중 찍은 사진. 가속기 연구소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모든 분야에 쓰일 수 있다. 이미 뇌파신호를 이용해 생각으로 제어하는 다양한 컴퓨터 게임도 등장하고 있다. 또 군사적으로도 가치가 크다. 말이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도 있고, 생각만으로 무기를 조작하는 분야 등에도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군인들의 팔다리 힘을 강하게 해 주는 ‘입는 로봇’ ...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2015.01.05
- 모른다는 약속어음 정도로 볼 수밖에 없다고 촌평했다. ● 마을에서 벌어지는 유일한 게임 글에서 끈이론과 다중우주론에 대한 비판적 문헌으로 소개한 참고문헌을 보니 2006년 출간된 ‘Not Even Wrong’이라는 책이 눈에 띈다. 물리학을 공부하다 수학으로 전향한 피터 보이트라는 사람이 쓴 ...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2.11
- 간판으로 앞세우고 지금까지 5편의 연작이 나왔다. 원래 CAPCOM 사의 게임이 원작이었는데 게임의 인기에 힘입어 영화로 제작되었다. 엄브렐러라는 제약회사가 생체병기 개발을 위해 생물에 바이러스를 투입하는 실험을 하던 중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유출되면서 벌어지는 상황을 그린 영화다. 좀비가 ...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IBS l2014.12.10
- 사람들이 기대하는 형태하고는 차이가 클 것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양자컴퓨터에 게임은 고사하고 업무용 프로그램은 물론, 윈도나 리눅스 같은 대중적인 운영체제조차 깔지 못할 것이다. 애초에 현재 연구되는 수준의 양자컴퓨터는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 가능한 컴퓨터이기 때문이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