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나는야 어과동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 요즘 ‘앵앵~!’거리는 모기 때문에 사람들이 슬슬 짜증을 내기 시작했더군. 그렇다면 늘 사람들 ... 사람들에게 해만 끼치는 곤충이 아니라구요.저는 당신을 도와 줄 생각이 없으니, 지구 정복을 도와 줄 곤충을 찾는다면 다른 곤충을 알아보세요 ... ...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7시간마다 완전한 원을 만들었다. 시계방향으로 매 시간 약 11°씩 회전한 셈이다. 이것은 지구가 자전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됐고, 이 실험은 푸코의 진자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알려졌다 ... ...
- [Photo] 옐로나이프를 감싼 ‘천상의 커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와 반응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따라서 지구 자극과 인접한 위도 60°~80° 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오로라는 색과 모양이 다양하다. 보통은 녹색이나 연두색을 띠는데 종종 붉은색이나 푸른색, 보라색이 보이기도 한다. 모양은 길게 늘어지기도 하고 ... ...
- 더뎌진 지구온난화, 영화 ‘투모로우’ 재현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붕괴되면 대기가 빙결되면서 내뿜는 방출열이 해양으로 흡수된다”며 “최근 10년 동안 지구온난화의 진행 속도가 느렸던 이유는 AMOC가 약화됐기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이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6일자에 실렸다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않다. 나 역시 이곳에서 지구의 미래 세대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하루빨리 지구와 교신할 방법을 알아내, 나의 화성탐사 뉴스를 전하는 거다. 그 때까지 어떻게든 살아야 한다.오픈소스 : Spacewardbound project |http://spacewardbound.astrobiology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인간은, 결코 메가이터가 되지 말았어야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것처럼,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빙글빙글 돌고 있다. 그런데 지구와 달리 전자는 전하량을 가지고 있다. 맥스웰이 완성한 고전전자기학(8월호 상수의 탄생 참고)에 따르면, 가속운동하는 전하는 전자기파를 계속 발생시킨다(움직이는 방향이 계속 달라지는 원운동도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5월 17일, 지구사랑탐사대 3기 대원들이 국립수목원에 모였어요. 한 손에는 삽, 다른 한 손에는 작은 확대경을 든 대원들은 수목원 일대를 걷고 뛰며 각종 미션을 수행했지요. 귀화식물 봄 현장교육의 뜨거운 열기를 전해 드릴게요~!귀화식물은 원래 살던 자생지를 떠나 외국에 정착한 식물을 말해요.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구팀은 지구의 자전축이 회전하는 팽이처럼 세차운동을 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지구에서 보이는 별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해 별 목록표의 기준시기를 1362.2년으로 산출했다. 그리고 현재 밤하늘 별들의 위치를 1362.2년으로 환산해 목록에 있는 277개의 별 중에서 274개(98.9%)를 실제로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위쪽 대기에서 약20~30km를 날아온 중성미자는 이론이 예측한 양 그대로였다. 하지만 지구 반대편 대기에서 날아온 중성미자는 1만2000km의 먼 거리를 날아오면서 진동변환에 의해 절반으로 줄어들었던 것이다. 이 실험은 일본, 미국, 한국의 국제공동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카지타 교수가 노벨상을 받은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