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비용도 훨씬 저렴하지요. 그렇게 되면 현재 위성이 하고 있는 통신, 방송, 기상, 과학, 지구관측 등의 역할을 드론이 대신 하게 될 거예요.드론을 활용해 통신망을 넓히려는 시도는 이미 시작됐어요. SNS 서비스 회사인 페이스북은 태양열로 비행하는 글라이더 모양의 드론 ‘아퀼라’를 만들었어요. ...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세계자연기금(WWF) 프랑스 지사가 협력해 2008년에 처음 시작한 행사예요. 그 당시 지구상에는 판다가 고작 1600여 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았어요. 중국에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판다 서식지인 대나무숲이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이에요. 파울로 그랑종은 사람들에게 판다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재활용 ...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더 중요하니까요.귀화식물이 얼마나 분포해 있는지 면적을 기록하는 것도 잊지 말고요~.지구사랑탐사대 3기의 활동은 이제 막 반을 넘었어요. 수원청개구리 탐사에 참여하지 못했거나, 자신이 탐사대원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대원들도 걱정하지 마세요. 6월에 시작되는 매미 탐사, 8월부터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침팬지가 도와 준다면 문제 없겠어! 침팬지를 만나 볼까? 침팬지야~, 어디에 있니? 내 지구 정복을 좀 도와 주지 않을래?침팬지야, 자기 소개 좀 해 줄래?우리 침팬지가 다 비슷해 보이겠지만, 침팬지에는 두 종이 있어요. 흔히들 말하는 침팬지와 보노보죠. 진화학자들은 우리 둘이 100만 년 전쯤 두 ... ...
- 게임 캐릭터들의 지구 침공! 픽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재미 포인트 1 오해에서 비롯된 외계인들의 공격영화 에서 외계인들의 침공은 지구에서 보낸 평화의 메시지를 오해하면서부터 시작돼요. 엉뚱하고 재미난 설정이죠? 하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어떨까요?실제로 과학자들은 이미 40여년 전부터 외계 지적생명체와 평화적인 만남을 ...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통해 나는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우리들의 공통적인 호기심, 그리고 미래의 지구 에너지원에 대한 전세계적인 걱정을 말하고 싶었다.” 과일에서 뽑아낸 전기는 그리 강하지 않아서, 이 시리즈 대부분은 장노출 촬영을 했다.보이지 않는 힘을 그리다칼렙 찰랜드는 2006~2010년에 만든 이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5월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와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IK)는 기술이 발전하면 지구 기온 상승폭을 1.5℃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894년 영국의 한 경제학자가 타임지에 “런던의 인구가 지금과 같이 증가하면 1940년 런던 거리에는 마차로 인해 말똥이 9피트(약 2.7m) 높이로 쌓일 ... ...
- [과학뉴스] 외계생명체 보기엔 너무 일찍 태어난 지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있을 것이라 예측했다.베루치 연구원은 “외계생명체를 못 보는 것은 아쉽지만 지구가 일찍 생성된 덕에 우리는 빅뱅에서부터 초기 은하가 진화한 증거들을 볼 수 있다”며 “1조 년 후에는 우주 팽창으로 인해 이 증거들이 다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10월 20일 ‘왕립천문학회지’에 ...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방출했다고 발표했다. 백조자리 V404가 이렇게 많은 빛을 쏟아낸 건 1989년 이후 처음이다.지구에서 78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 V404는 1938년과 1956년에도 폭발적으로 밝아진 적이 있다. 당시에는 별이 내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돼 폭발하는 ‘신성(nova)’으로 알려졌으나 이후에 신성은 아닌 것으로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라졌음을 의미했다. 과학자들은 프테로닥틸루스를 포함한 화석생물을 통해 생물 종이 지구에서 멸종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과거에 여러 번의 멸종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익룡의 발견은, 우리가 자연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는 데 기여를 한 셈이다. 고생물학 공주와 해변의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