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친구들에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몸에 들어오면 건강을 해치지요!” 강민준 기자가 대답하자 본부장님이 설명을 덧붙였어요. “맞아요. 미세먼지는 대부분 대기 중에 있던 질소산화물과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여겼습니다. 오일러 이후에나 수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지요. 그렇다면 최석정도 취미로 마방진을 즐겼을까요? 한국수학사를 연구하고 있는 김영욱 고려대 수학과 교수는 “최석정이 살았던 때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국토는 황폐하고, 민심은 혼란스러운 때라 마방진을 즐길 겨를이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놓여있죠? 이게 대표적인 ‘격자형 구조’입니다. 워커는 지하철역이 10개 이하 정도로 도시가 작을 때에는 모든 노선이 네모역처럼 개수가 적은 종류의 역에서 만나는 방사형 구조가 유리하지만, 도시가 커질수록 격자형이 좋다고 말합니다. 좌우와 위아래 방향의 노선이 격자 형태로 만나서 모든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빛이 1년 동안 이동한 거리를 1광년이라 한다. 빛은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 돌 수 있다. 정도 속도라면 은하단 밖으로 날아가 버려야 했다. 마치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은하들을 은하단 안에 머물도록 붙잡아둔 것 같았다. 츠비키는 이 보이지 않는 물질을 ‘잃어버린 질량’이라고 불렀고, 이 물질의 ...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부유입자가 픽셀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공중에서 3D프린터로 원하는 물체를 출력하는 기술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ature2517 ... ...
- [과학뉴스] 디카로 찍은 원자 하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마주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금속 전극이다. 두 금속 전극 사이의 약 2mm 정도 미세한 틈에는 스트론튬 원자가 아주 작은 점처럼 찍혀 있다(사진에서 흰색 원 안). 내드링거 박사는 이 사진을 일반 디지털카메라로 찍었다. 스트론튬 원자는 빛을 쪼이면 광자를 흡수하고 다시 천천히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장점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전통 요리기구인 맷돌의 원리를 응용했다. 쓴맛이 사라질 정도로 카카오 원두를 로스팅한 뒤 맷돌로 분쇄해 카카오 기름이 그대로 함유된 초콜릿 원료인 ‘커버처’를 만들었다. 여기에 설탕 대신 혈당이 오르지 않는 말티톨 등 감미료를 첨가했다. 혈당을 높이지 않는 ...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효율도 8.53%로 크게 올랐다. 현재 사 용되는 OLED 디스플레이의 경우, 소자 발광 효율이 25% 정도로 앞서 있지만, 발전속도는 OLED 못지 않다. 이 교수가 개발한 방법은 현재 생산되는 LED 공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공정 시스템을 따로 구축할 필요가 없고, 생산비용이 기존 LED 대비 10분의 1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중요한 자료”라고 강조했다. 이는 현재와 같이 온난했던 간빙기에 북극해 해빙이 어느 정도 녹았는지, 빙하기에 대부분 해역이 결빙됐던 표층수에서 얼마나 많은 생물이 생산 활동을 했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현재 서북극해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하며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생들이 졸업을 위해 이수해야 하는 교과가 수학·과학 관련 70%, 예술·인문 부문이 30% 정도를 차지한다. 하지만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에서는 수학·과학 50%, 예술·인문 50%를 이수해도 졸업이 가능하다. 학생들의 수업 선택 폭이 더 넓은 것이다. 김 입학부장은 “특히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는 창의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