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놓여있죠? 이게 대표적인 ‘격자형 구조’입니다. 워커는 지하철역이 10개 이하 정도로 도시가 작을 때에는 모든 노선이 네모역처럼 개수가 적은 종류의 역에서 만나는 방사형 구조가 유리하지만, 도시가 커질수록 격자형이 좋다고 말합니다. 좌우와 위아래 방향의 노선이 격자 형태로 만나서 모든 ...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좌식, 입식, 시각장애 부문이 그렇다. 같은 좌식 부문에 참가하는 선수도 저마다 장애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불리한 신체 기능을 지닌 선수에게 이익을 주는 점수 제도도 마련했다. 바둑이 급수가 낮은 사람에게 돌을 몇 개 먼저 올리도록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시각장애 부문의 ...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모형의 Λ는 암흑에너지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6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Λ는 아인슈타인이 실수라고 생각하며 뺐던 우주상수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우주상수를 뺐던 것이 진짜 실수가 된 셈이랄까. 그렇다면 암흑에너지가 우주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석천 ...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부유입자가 픽셀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공중에서 3D프린터로 원하는 물체를 출력하는 기술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ature2517 ... ...
- [과학뉴스] 디카로 찍은 원자 하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마주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금속 전극이다. 두 금속 전극 사이의 약 2mm 정도 미세한 틈에는 스트론튬 원자가 아주 작은 점처럼 찍혀 있다(사진에서 흰색 원 안). 내드링거 박사는 이 사진을 일반 디지털카메라로 찍었다. 스트론튬 원자는 빛을 쪼이면 광자를 흡수하고 다시 천천히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 선임연구원은 “KIST 양자암호통신 시스템에서 주고받는 광자의 수는 초당 1억 개 정도”라며 “그 중에서 일부만을 취한 뒤 서로 비교해 비밀키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양자암호통신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1010’이라는 신호를 만들고 측정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0과 1을 만들 수 있는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맞춤치료에 활용 가능토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단 키트는 사용 승인까지 2~3년 정도 걸릴 전망이다. ‘cff DNA’로 태아 염색체 이상 확인 ※ cff DNA Cell-free fetal DNA. 산모의 혈액에 존재하는 태아의 DNA로 태반의 영양막 세포사멸로 생긴다.산모의 혈액으로 태아의 질병을 진단하는 기법도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생들이 졸업을 위해 이수해야 하는 교과가 수학·과학 관련 70%, 예술·인문 부문이 30% 정도를 차지한다. 하지만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에서는 수학·과학 50%, 예술·인문 50%를 이수해도 졸업이 가능하다. 학생들의 수업 선택 폭이 더 넓은 것이다. 김 입학부장은 “특히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는 창의 ... ...
- Part 2. 무엇이든 찾아낸다, 탐지견 꼼짝말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문화재지킴이 같죠? 흰개미 탐지견은 사람이 검측장비로 찾을 때보다 조사시간을 10배 정도 단축시킨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멍멍! 황금개띠 해의 주인공은 누구?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Part 2. 무엇이든 찾아낸다, 탐지견 꼼짝말개!Part 3. 더욱 ...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하지 않는다’거나 중학교에서는 ‘경우의 수는 두 경우의 수를 합하거나 곱하는 경우 정도로만 다룬다’고 정해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풀지 않도록 했지요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