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일일이 조사했답니다. 그 결과 무척추동물의 버섯체에 있는 신경섬유다발이 모두 같은 모양과 방향으로 배열돼 있었고, 버섯체의 성분이 동일한 단백질(DC0, Leo, CaMK2)로 돼 있었어요. 모든 무척추동물의 뇌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스트로스필드 교수는 “무척추동물의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버린 거지요. 알을 2개만 낳는 것은 환경에 최적화된 결과예요.이렇게 태어난 새끼도 모양이 사뭇 다릅니다.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보는 새는 알에서 부화하면 털도 없고 아주 허약해 보이잖아요? 그런데 남극에 사는 새는 알에서 갓 태어났을 때도 털이 있고 덩치도 어느 정도 크거든요.갓 태어난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따르는 데이터는 벤포드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시험 점수와 같이 평균을 중심으로 종 모양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정규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균일분포와 정규분포가 섞여 있는 데이터에서는 벤포드 법칙이 성립한다. 또 10진수가 아닌 다른 진수로 이뤄진 숫자데이터와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문 뒤에 위치한 작은 계단을 올라가자 동그란 거실과 그곳을 둘러싼 방들이 있었다. 타원 모양의 문, 동그란 창문과 창문만큼 동그란 문고리가 눈에 들어왔다. 마치 잠수함 속에 들어온 듯 했다. 붉은 벽 너머의 정원보단 지하 이분의 일층이라는 이름과 어울리는 곳이었다. 삼촌은 12시 방향에 있는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간빙기가 반복됐고 그 이후로는 10만 년마다 반복됐다. 원인은 지구 공전궤도 타원 모양의 변화(이심률의 변화), 자전축의 기울기, 그리고 자전축 및 공전궤도의 세차운동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수백만 년 동안의 기후는 지구 외적인 원인에 의해 큰 요동을 치고 있다. 이 외적인 요동은 지금도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따라 가지런하게 배열돼요. 과학자들은 이 원리를 이용해 ‘토카막’이라는 도넛 모양의 거대 자석을 만들고, 그 안에 플라즈마를 가두고 원하는 대로 조절하려고 해요. 케이스타도 이런 토카막 장치 중 하나지요.“이전의 토카막들은 구리로 된 코일에 전류를 흘러서 자기장을 발생시켰어요.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구하려면 미분과 적분을 꼭 거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수함수는 미분과 적분을 해도 모양이 유지됩니다. 덕분에 파동함수를 구하기가 간편해지고,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양자역학에 지수함수가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물리학을 전공한 고독한 미식가는 대학교에서 양자역학이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또 하나 찾아볼 수 있는 띠가 바로 미끄럼반사, y축 반사가 있는 띠입니다. 모두 다른 모양을 하고 있지만 수학적으로는 성질이 같다는 게 신기하지 않나요? 더 놀라운 건 이 7가지 띠를 왕궁이라는 한 장소에서 모두 찾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냥 보기에는 단순해 보여도 쉽지 않은 일이거든요 ...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근접 탐사할 목적으로 2007년 9월 발사됐다. 소행성보다 큰 왜행성은 비록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갖추고 있으나, 다른 소천체와 궤도를 공유하고 있다. 소행성은 왜행성보다 작고 구형을 이루지 못하며, 태양계의 기원을 밝힐 정보를담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던은 첫 번째 목표인 소행성 베스타에 2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해도 모양이 연상되는 귀여운 이름이다.하지만 워낙 작고 복잡한데다 같은 종이라도 모양이 크게 다르기도 해 제대로 분류하기란 쉽지 않다. 문연구관은 “같은 지의류라도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성장 패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수십 년 이상 숙련된 분류학자가 아니면 다른 종으로 잘못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