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동굴에서 사는 동물이 두 종이나 포함됐어요. 그 주인공은 ‘해골새우’와, ‘돔 모양 달팽이’랍니다. 캄캄하고 아무것도 없는 동굴에서도 생물이 살고 있고, 해마다 새롭게 발견되고 있다니! 그런데 대체 이들은 동굴의 어디에서, 무엇을 먹고 사는 걸까요?빛이 전혀 들지 않는 동굴에서는 식물이 ...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닌지 알 수 있다. 위상동형은 어떤 도형을 찢어지지 않게 이리저리 변형했을 때 같은 모양이 나오는 경우를 뜻한다. 오일러 특성수★가 같으면 서로 위상동형이다. 예를 들어 오일러 특성수가 2로 같은 구와 정다면체는 위상동형이다.아무리 복잡하게 생긴 도형이라도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만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파란빛을 내는 LED와 그 위에 노란 안료를 바른 파란 LED의 혼합체입니다. 이런 LED의 파장 모양은 형광등보다는 부드럽지만 여전히 태양광과는 거리가 있습니다.하지만 고급 LED로 넘어가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고급 LED는 태양광을 거의 완벽하게 모사할 수 있습니다. 비법은 색깔별로 LED를 섞어서 ... ...
- [과학뉴스] 유럽인의 조상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결과 이 화석은 약 5만5000년 전의 화석이었다.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직후다. 두개골의 모양은 아프리카와 유럽의 후기 구석기 시대 현생인류와 닮아 있었다. 하지만 보다 서쪽인 레반트 지역(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등이 있는 지역)의 인류와는 차이가 있어, 나중에 유럽 쪽으로 퍼진 인류의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위). 왼쪽 아래 사진은티비츠 교수가 개발 중인 신개념 파이프. 막혀서 유속이 변하면 모양을 바꿔 문제를 해결한다. 물론 4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스스로 하게 만든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가 사라진다 4D 프린팅 기술은 지금은 미국이 이끌고 있지만 2~3년 내에 유럽과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이번 발견을 계기로 타조공룡 중 상당수가 잡식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앵무새 부리 모양의 긴 입으로 먹이를 빨아들여 먹다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공룡의 생활을 복원해 보면 이렇다. 먼저 큰 앞발과 낫 같은 발톱으로 물가의 풀을 모으거나 캔다. 이 때 뭉툭한 발톱 끝은 무른 물가의 땅을 밟을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목소리와 손가락 하나면 작동된다고?안경 테와 렌즈가 없고, 한쪽 눈 앞에 정육면체 모양의 프리즘이 있는 특별한 안경이에요. 안경을 쓴 상태에서 ‘오케이 글래스’라고 외치면 프리즘 안에 컴퓨터 화면이 나와요. 인터넷이나 게임, 날씨 등 원하는 프로그램을 외치기만 하면 그대로 실행되죠. ... ...
- 얼음낚시의 달인 ‘미끼로 다나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문양대로 얼음구멍을 뚫어야 합니다. 얼음판 위의 복잡한 그림에서 이 쪽지에 있는 모양을 찾아 뚫어 주세요.”미션4 균형을 맞춰라!콧물이 얼 정도로 열심히 얼음낚시를 한 썰렁홈즈. 꽤 많은 물고기를 잡은 것에 뿌듯해 하며 심사를 받는 곳으로 가까이 갔다.“여기 물고기를 재는 저울이 있습니다. ... ...
- 3화 미꾸라지의 수열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서 있었다. ‘누구지? 여긴 어디지?’ 주위를 둘러봤다. 동그란 문고리와 타원 모양의 높은 천장이 보였다. 찬이는 자신이 삼촌 방에 누워 있다는 걸 알아챘다. ‘이런!’ 찬이는 그제서야 자신이 샤워 중이었단 걸 깨달았다. 괜히 얼굴이 붉어졌다. 가슴까지 덮여 있던 이불을 머리 끝까지 끌어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그림을 볼 수 없고 실물을 만져보기란 도시에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 특히 전체 모양을 한번에 만질 수 없는 커다란 물체는 알 방법이 없다. “남한산성에 야외 수업을 가긴 하지만, 정작 산성이 어떻게 생겼는지 가르칠 방법이 없다더군요. 그래서 탄생한 게 바로 ‘품 안에 들어오는 석굴암과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