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해안 지형도, 수학이 그려줍니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그래서 연구팀은 지구타원체라는 도형을 도입했습니다. 지구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그대로 함수식으로 나타낸 겁니다. 지구가 도는 것까지 적용돼 있지요.연구팀이 개발한 수학 모델은 지구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지표면의 높이와 지구타원체를 기준으로 측정한 지표면의 높이 차를 ... ...
- [수학뉴스] 거북아, 수학으로 일어나자!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작은 거북보다 머리나 다리를 밖으로 많이 뺄 수가 없거든요. 사실 몸집이 클수록 등껍질 모양도 크고 강인합니다. 그래서 가뭄이나 천적, 먹이 부족에도 더 잘 버틸 수 있죠. 하지만 뒤집혔을 땐 몸집이 큰 게 훨씬 불리합니다.암컷과 수컷의 차이도 있습니까?보통은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큽니다.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이렇게 유연하게 움직이는 소프트로봇은 장애물을 만났을 때도 상황에 따라 자신의 겉모양을 바꿔 마치 부드럽게 장애물을 통과한다. 최단거리를 찾아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베이맥스는 어떻게 탄생했을까?영화 의 돈 홀 감독은 베이맥스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 ...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지었다”고 설명했다.유 구루의 해설을 듣던 중 1층 한 쪽에 줄 지어 서 있는 5개의 바퀴모양 조형물과 그 위의 거대한 스크린이 눈에 들어왔다. 각기 다른 색의 빛이 5개의 바퀴에서 뿜어져 나왔고, 색색의 직사각형이 리듬감 있게 스크린 위를 질주하고 있었다. 1층 전시공간을 담당하는 김소영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들소 등 대형 초식동물을 공격했다. 특히 최대 길이가 28cm나 되는 송곳니의 양날에는 톱니모양 구조가 있어서 먹잇감을 제압하고 목이나 가슴을 공격해 숨통을 끊을 수 있었다. 하지만 무리한 힘을 가하면 부러질 수 있어 그리 자주 쓰지는 못했다. 대신 먹잇감의 가장 부드러운 부위를 자르거나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치와 언어모델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왼 쪽 중지로 누르는 ‘e’와 ‘d’는 비슷한 모양의 진동 패턴 을 나타낸다. 둘 중에 누가 e이고, d 인지 구분이 거의 불가능하다. 단독으로는 구분이 안 되지만 말 속에서 는 구분이 가능하다. ‘th’ 다음에 e 또는 d의 신호가 오 면 ‘the’, ‘ay’앞에 신호가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발전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힘을 쏟았다. 그는 가로로 누워 있는, 매끈한 원통 모양의 은빛 장치를 가리켰다. 순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압축기라고 했다. 압축기는 작동유체를 고압으로 올리는 장치다. 아침 출근길 수많은 사람들이 간격을 좁혀가며 지하철로 쏟아져 들어가듯, 이산화탄소 분자들이 ... ...
- [과학뉴스] 로봇은 오늘도 그린다. 백사장에, 홀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함께 개발한 로봇, ‘비치봇’(BeachBot)이다. 가로 60cm, 세로 40cm인 거북이 모양의 이 로봇은 부지런히 해변을 돌아다니며 10분 만에 대형 그림 하나를 뚝딱 완성한다. 비치봇은 와이파이에 연결된 컴퓨터, 관성측정장치, 레이저스캐너를 가지고 있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림에 필요한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무시무시한 반 앨런대를 어떻게 우주인이 통과했느냐는 겁니다. 반 앨런대는 도넛 모양의 내대(안쪽 벨트)와 외대(바깥쪽 벨트)로 구분합니다. 지표에서 1000~5000km 높이에 있는 내대는, 태양계 밖에서 온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cosmic ray)이 지구 대기의 분자나 원자와 충돌할 때 생기는 양성자와 전자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라진 탓이 큰데, 이 역시 예전 기사에서 예측했던 내용이다. 보고서는 준설로 강 바닥 모양이 단순해지고 수심이 깊어지면서 저서무척추동물이 떠났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새들도 모래섬이나 주변 습지가 사라지자 함께 떠났다.수자원 가치도 별로 없고 관광 효과는 미약수자원 확보와 홍수 ... ...
이전292293294295296297298299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