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쿠아맨!
우리
는 뭘 풀어야 하죠?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 뜯어보기 1 밀레니엄 문제 N-S방정식은 이렇게 생겼다! ● 뜯어보기2. 특이점이란?함수에서 특이점은 미분이 불가능한 뾰족한 지점이다. 만약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N-S 방정식에 특이점이 있다면 연속적으로 흐르던 물이 갑자기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흐를 것이다. ● 뜯어보기3. 공기는 이 ... ...
후보1. 예술성·수학성 모두 갖춘 잠자리 날개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시뮬레이션한 결과 실제 잠자리 날개 무늬와 놀랍도록 비슷했죠. 오래 전부터
우리
잠자리 날개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비슷하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수학자들이 힘을 실어 준 겁니다. 그래서 더 열심히 날갯짓을 하며 수학을 알리고 있죠. 어쩌면 저희 몸속에 수학 유전자가 있는 건 아닐까요 ... ...
후보3. 소수의 비밀 열쇠는 닭의 눈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있어요. 어때요? 이 정도는 돼야 수학 발전에 이바지했다고 할 수 있지 않겠어요? 행여
우리
눈에 나타나는 초균일성으로 수학자의 오랜 숙원을 푼다면 의심할 바 없이 제가 수학왕입니다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불렀어요. 지금은 서랍보다 비둘기집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죠. 어떤 원리냐고요?
우리
비둘기는 ‘1비둘기 1가구’를 원칙으로 합니다. 집 1개에 비둘기 1마리만 들어가 알을 낳죠. 만약 한 집에 2마리를 살게 하면 깃털이 뽑히도록 싸울 거예요. 그런데 비둘기가 5마리인데 집이 4개뿐이라고 ... ...
[수학미술관]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보면 그저 무수히 많은 점의 집합이지만, 조금 떨어져서 보면 그 사실을 알 수 없지요.
우리
눈에는 두 색이 섞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두 점이 각각 빛을 반사하니 탁하지 않고, 물감으로는 절대 표현 못 할 새로운 색감을 나타내요. 이처럼 쇠라를 비롯한 ‘신인상주의’로 불리는 화가들은 ... ...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손님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연구 중인 박혜원 박사님입니다. 박혜원 박사님은
우리
생활 속에서 함께하는 로봇을 만들고 있지요. HRI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로봇을 만들까요?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로봇을 만들어요"●박혜원 박사(이하 박) : 저는 ‘사람이 ... ...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어린이 여러분은 SF영화에서나 보던, 아무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이런 세상을 살 거예요.
우리
들은 어떤 자세로 로봇을 받아들여야 할까요? 함께 고민해보길 바라며...이상 정한길 기자였습니다 ... ...
피플┃룩셈부르크는 왜 소행성 광물 탐사에 나섰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룩셈부르크가 우주로 눈을 돌린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환경이다. 슈나이더 부총리는 “
우리
의 목표는 이전에 탐험하지 못했던, 우주를 떠도는 생명이 없는 소행성이 지닌 광물 자원에 접근하는 것”이라며 “지구 자연에 끼치는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의 자원 채취와 GDP 창출도 ... ...
신비┃우주에
우리
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탐색하는 과학자들은 외계인을 찾는 노력이 이제 막 시작됐다고 강조한다.
우리
가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었던 것이 불과 100년 전이니, 45억 년이라는 지구 행성의 긴 역사에선 터무니없이 짧은 기간임은 분명하다. 지금까지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 ...
질서┃마침내 별 등장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기본입자들이 만들어낸 합성입자들은 생성과 붕괴를 반복했다. 그중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인 양성자와 중성자를 포함한 강입자, 그리고 전자와 광자 등이 ... 거듭나게 됐다. 하지만 너무 컸던 최초의 별은 수억 년 만에 운명을 다하고 말았다.
우리
은하와 태양계를 만들 씨앗들을 남기고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