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주세요. 그리고 로보트 재권V가 열심히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려고 합니다. 이제
우리
모두가 로보트 재권V를 똑똑하게 만드는 선생님이니까요. To be Continued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편집자 주.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나로호를 개발할 수 있게 된 데는 과학로켓 ‘KSR(Korea Sounding Rocket)’ 시리즈의 역할이 컸다. 미사일을 실 ... 추력기 자세제어시스템 등의 부품을 모두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무엇보다
우리
는 새로운 발사체에 도전할 수 있다는 의지와 용기를 얻었다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연구 결과는 포항 지진이 촉발 지진이라는 증거들을 찾았다는 거예요. 앞으로
우리
가 찾은 증거가 단층에 어떤 힘을 주어서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물리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야 해요. 그래야 땅속에 응력이 어느 정도 있을 때 얼마만큼의 힘을 더 주면 지진이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발견된 사례는 있으나 대부분 해충 개미라 보존하려고 노력한 사례는 없다”면서 “
우리
나라는 물론, 해외에서도 보기 힘든 살아있는 생태 교육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안양지역 시민연대 ‘안양기억찾기’ 최병렬 대표는 “다행히 이곳이 공원부지로 결정됐지만, 개미들과 공존하기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개 모여야 모래알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과학에서 모호한 낱말을 모두 없앨 수 없다면
우리
는 모호한 낱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오늘의 생각실험은 여러분께 이런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지 물음을 던집니다. 과학자들에게 이 물음은 당장 풀어야 하는 숙제이기도 합니다. 미세먼지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Biodegradation)1909년 미국인 발명가 베이클랜드가 합성 플라스틱을 만든 이후 플라스틱은
우리
일상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가볍고 튼튼해 필수 제품으로 자리 잡았지요. 하지만, 무분별한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해 많은 생물들이 피해를 받고 있어요. 플라스틱은 자연상태에서 수백 년 동안 거의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진화 과정까지 밝힌 겁니다. 이처럼
우리
선조들의 관측자료는 현대 연구에 도움이 되며
우리
선조들의 관측 실력이 매우 뛰어났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용어정리*변광성 : 크기가 커지고 작아짐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보이게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스냅챗뿐 아니라 ‘롤리캠’과 ‘스노우’ 등
우리
가 아는 여러 앱들이 이 기술을 이용해 사진을 보정하고 재밌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어요. 롤리캠을 개발한 김은석 시어스랩 수석 개발자는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얼굴을 찾는 기술은 이미 잘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액션’이라는 게임 장르를 들어본 적 있나요? 벨트스크롤 액션은 부모님이
우리
나이 때인 1990년대 오락실에서 인기를 끈 장르로, 캐릭터가 보통 오른쪽으로 나아가며 등장하는 다수의 적을 무찌르는 방식입니다. 장소를 옮길 때 게임 배경이 반대 방향으로 벨트가 돌아가듯 움직여서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오토파지’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자가포식이란 불필요하거나 기능이 손실된 세포를
우리
몸이 스스로 분해하는 기작을 말한다. 연구팀은 쥐를 이용해 자가포식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Atg7이 신경줄기세포에서 작동하지 못하도록 조작하자 신경줄기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정상적인 뇌 기능을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