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영하 12℃에서 영상 40℃까지 오르내리는 온도 변화를 하루에도 200번씩 견뎌야 했어요. 이후 생물들을 지구에 가져와 분석한 결과, 지의류가 가장 잘 버틴 것으로 나타났답니다.이처럼 강인한 지의류에게도 약점이 있어요. 생장이 너무 느리다는 점이지요. 지의류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1년에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정리에 대한 도전 정신과 그의 증명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다시 한 번 보여준다. [강연 이후, 증명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됐지만 와일스는 약 1년 뒤 오류를 해결했다. 이로써 와일스의 강연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증명된 역사적인 순간으로 남게 됐다. ... ...
- [News & Issue]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월에 9:1이었다가 점차 체력훈련의 비중을 낮춰가면서 1월에는 7:3, 2월에는 4:6, 그리고 3월 이후에는 3:7정도로 한다”며 “시즌 중에는 동계훈련을 통해 만든 체력을 유지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개막에 임박할수록 체력운동의 종류도 달라진다. 체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면 기초 체력, 운동 체력,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바이오센서의 녹색형광이 켜지는지 여부로 토양에서 MMO를 가진 미지의 미생물을 찾는다. 이후 MMO를 만드는 유전자를 조금씩 변형해 여러 개 만든 뒤, 녹색형광의 세기를 기준으로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이는 유전자를 찾는다. 이승구 생명연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유전자에 작은 변이만 있어도 ...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든 태양력을 사용한다. 태양력은 기원전 18세기경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사용했다.이후 유럽에서는 1년의 평균 길이를 365.25일로 하는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다가 1582년 10월 15일부터는 1년의 평균 길이를 365.2425일로 하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고 있다.그런데 실제 태양년의 길이는 365.2422일로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태어나고 두 달 뒤인 3월초부터 한 달에 한 번 새끼 한 쌍을 매달 낳는다고 합니다. 이후에 태어난 토끼들도 마찬가지로 출생 두 달 뒤부터 토끼 한 쌍을 매달 낳습니다. 어떤 토끼도 죽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1년 동안 태어나는 토끼는 모두 몇 쌍일까요?표를 보면서 생각해 봅시다. 태어난 토끼 쌍은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측정할 수 있다. 피코그램(1조 분의 1g)의 미량 원소까지 분석할 수 있어서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해수가 얼마나 오염됐는지, 바닷속에 플랑크톤이 얼마나 사는지도 알아낸다. 무게가 3t이 넘는 심해무인잠수정과 1400억 원을 들여 제작하려고 하는 유인 심해잠수정을 싣는 공간도 마련돼 있었다.이런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 주의 : 사람의 시체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와 사진이 포함돼 있습니다. 비위가 약하신 분들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시신들은 모두 나름의 사연을 ... 가능하게 됐다. 메기에시 박사가 만든 점수체계와 방정식을 개선·보완한 논문이 2005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인공위성, 통신과 같은 수많은 첨단기술이 1960년대 이후 미국과 러시아의 달탐사 기술로부터 ‘스핀 오프(Spin off)’됐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스핀 오프는 경제 분야에서 생겨난 용어로, 원래 있던 것으로부터 파생됐다는 뜻이다. 우주기술은 IT, 항공, 기계, 재료, 인체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점과 천체의 크기가 작다는 점 때문에 2006년 ‘왜소행성’으로 다시 분류됐지요. 이후 태양계에 존재하는 9번째 행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됐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이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브라운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