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자폐증 환자에 가깝다고 고이타성을 향한 여정백했다. 그런데 그가 어떻게 “다윈 이후 가장 위대한 다윈주의자라는 호칭에 걸맞은 인물(도킨스의 평)”이 될 수 있었을까? 그가 남긴 다른 업적도 많지만,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처음으로 밝혔음을 빼놓을 수 없다.생명의 패턴에 눈을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훌륭한 곳인가요?”선생님이 한참 동안 답을 하지 않았지만, 열 살 그 날 오후 이후 선생님이 소금의 질문을 무시한 적은 없었기에 소금은 기다렸다. 선생님이 말했다.“카두케우스사는 그저 존재하는 거란다. 우주처럼. 본사가 훌륭한 사람을 구분할 능력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지.”“교과서를 ...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점과 천체의 크기가 작다는 점 때문에 2006년 ‘왜소행성’으로 다시 분류됐지요. 이후 태양계에 존재하는 9번째 행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됐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이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브라운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구로 돌아온 티토는 “내 꿈을 이룬 멋진 여행이었다”며 소감을 말했어요.이후 데니스 티토는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우주여행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화성 인스퍼레이션 재단’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2018년 1월에 첫 민간 화성왕복선을 발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답니다.우주여행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비선형미분방정식인 ‘호지킨-헉슬리 모델’을 선택했다. 이 모델은 1952년에 만들어진 이후 뇌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공로로 개발자인 호지킨과 헉슬리가 1963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17가지 방정식은 멀게는 기원전, 가까이는 1970년대에 혜성같이 나타나 인류에게 큰 공헌을 ... ...
- [과학뉴스] 구글이 밝힌 무인자동차의 첫 실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당연히 양보할 것이라는 소프트웨어의 판단이 맞지 않았다는 것이다. 구글은 사고 이후 소프트웨어를 조정했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교통조사국은 보다 정밀한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고 책임을 가릴 예정이다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모습만을 보인 것은 아니다. 약점도 있었다. 이세돌 9단의 신의 한수라고 불리는 4국 78수 이후, 허둥지둥하는 알파고의 모습은 분명 바둑의 신과는 거리가 멀었다. 전문가들은 알파고가 학습하지 않은 데이터, 즉 78수를 마주했기 때문에 당황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딥마인드의 대표인 데미스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었다. 프리피야트는 원전노동자를 위해 체르노빌 원전 인근에 지은 계획 도시로 사고 이후 폐허가 된 대표적인 지역이었다.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중 가장 심각한 ‘레벨7’ 판정을 받으면서, 과거 이 지역은 외부인들의 출입이 극히 제한돼 있었다. 작가도 스위스의 의회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처리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Q 20년 만에 치러지는 실험이라고 하던데.1997년 첫 DT 실험 이후 정확히 22년 만입니다. 당시에 16MW의 핵융합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해 핵융합 에너지의 가능성을 보여줬죠. 지금은 플라스마 가열 능력이 그때보다 2배나 더 좋아졌습니다. 장치 내벽도 ITER에서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합니다. 미국 뉴욕교구의 예수회 수녀로, 1991년에 캄보디아에 왔습니다. 킬링필드 이후에도, 캄보디아에서는 ‘포스트 킬링필드’라는 베트남과의 전쟁과 내전이 이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이가 역시 수십만 명입니다. 국제사회의 중재로 1991년에야 겨우 내전이 멈췄습니다. 제가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