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필요한 상태였다. 최근 일본, 미국에 보편화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천연가스로
작동
하긴 하지만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개질기(Reformer)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연구팀은 천연가스처럼 쉽게 얻을 수 있는 탄화수소를 직접 연료전지에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중층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CAM)’를 발견했다. 그 뒤 뇌과학 분야로 진출한 에델만은 신경계가 면역계와 비슷하게
작동
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1977년 ‘신경다윈주의(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즉 에델만이 항체의 구조를 밝히기 전까지 항체의 다양성은 항원과의 상호작용 결과라는 해석이 우세했다. 즉 항원을 만난 ... ...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
과학동아
l
2014.12.18
채굴지역을 대상으로 박쥐의 생태를 연구했다. 연구팀은 채굴장에서 1년 내내 24시간
작동
하며 큰 소음을 만들어내는 가스 압축기에 주목했다. 먼저 압축기가 있어서 소리가 시끄러운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고른 뒤 그 지역에 사는 박쥐의 활동량을 측정해 기록했다. 그 결과 시끄러운 지역에서 ... ...
안방에서 스마트폰으로 농장일 척척
2014.12.17
모습, 온실의 온습도 및 공기 상태 등 농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온풍기와 펌프 등에
작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 원대연 동아일보 기자 yeon72@donga.com 경남 진주에서 파프리카 농장을 운영하는 이모 씨(53)는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스마트폰부터 확인한다. 현재 온실의 온도가 어떤지, 습도나 ... ...
100만 분의 1초 존재했다 사라지는 화합물의 결정구조 밝혔다
2014.12.16
제조 공정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면서 “수퍼옥소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이들 화학반응을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美 90m 잠수 로봇 물고기 성공, 한국 4대강 로봇 물고기 혈세 57억 ‘꿀꺽’
동아닷컴
l
2014.12.16
1초에 2.5m를 헤엄쳐야 하지만 감사원 테스트 결과 23cm밖에 나아가지 못했고 테스트 도중
작동
이 중단됐으며 수중 통신속도나 거리도 목표치에 훨씬 미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에도 탁도 측정 센서는 장착되지 않았고, 총 9대의 4대강 로봇물고기 중 7대가 고장 난 상태라 3대 이상 있어야 측정이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작동
하려면 감염 뒤 수주가 걸리는 적응면역계(adaptive immunity)다(물론 재감염시에는 즉각
작동
한다). 결국 세포경쟁에서 선천면역계가 관여한다는 건 우리 몸이 루저 세포를 몸에 침입한 병균에 감염돼 회복불능이라고 판단한 세포처럼 취급한다는 말이다. 세포경쟁이란 현상은 1970년대 처음 ... ...
아빠가 ‘슈거홀릭’이면 자녀가 비만?
2014.12.08
유전물질 발현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 연구 결과가 중요한 이유는 유전자의
작동
원리가 모든 생물에게서 비슷하기 때문이다. 특히 쥐와 사람 같은 포유류도 초파리와 유사한 비만 조절 시스템을 갖고 있다. 포스피실릭 박사는 “부모세대의 생활환경이 자손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 ...
남성 Y염색체 없애는 건 오직 담배 뿐
2014.12.08
진행한 라스 포스베리 박사는 “Y염색체가 없어진 세포는 종양을 감시하는 면역기능이
작동
하지 않을 수 있다”며 “흡연 남성이 흡연 여성보다 암 발생률이 높은 것은 이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Y염색체는 남성의 수명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담배를 피우다가 끊은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보인다. 이대엽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줄기세포 안에 있는 성장 조절 단백질의
작동
원리를 알아냈다고 4일 밝혔다. 지금까지 과학계에서 ‘배아줄기세포전사인자’라는 물질이 줄기세포 생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그 원리는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이 교수팀은 2012년부터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