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9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하기 쉽지만, 이시구로 박사가 만든 제미노이드 HI는 모터 50여 개가
작동
하면서 미묘한 표정변화까지 만들어낼 수 있다. ‘사이언스’ 2014년 10월 10일자에는 소셜로봇을 특집으로 다뤘다. 안드로이드 제작으로 유명해진 로봇공학자 이시구로 히로시 박사(위)와 그의 도플갱어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있다. 아래는 y=1-x 기준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친 곡선으로 대칭인 곡선에 비해 같은 오
작동
확률일 때 적중확률이 높으므로 역치가 다소 내려가야 하는데 피타고라스정리를 이용한 방법이 이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다. - 플로스원 제공 통계기법의 자세한 내용은 모르더라도 좌표상의 어떤 ... ...
내가 금연을 하는 건 ‘담뱃값이 올라서’가 아니야
2015.01.15
이영혜 기자 5. 창문 열고 담배 피우면 안심? 차안에서 창문을 열거나 환기장치를
작동
시키고 담배를 피워도 미세먼지 농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안전기준치를 훌쩍 넘는다. 미세먼지는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린다. 2012년 10월 1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것으로 확인됐다. 또 휘는 스마트폰이나 휘는 디스플레이의 핵심인 유연기판에서도 정상
작동
이 가능했다. 이 교수는 “메모리소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인체친화적인 물질인 키토산으로 대체한 데 의미가 있다”며 “전극 등 메모리 소자의 다른 부분도 인체에 적합한 소재로 대체하는 연구를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전이에 필요한 유전자를 두 개 지니고 있다. 오랜 세월동안 변이가 축적돼 대다수는
작동
하지 못하는 화석이지만 100여개는 아직 전이성을 잃지 않은 상태다. 전이성 인자는 게놈의 안정성을 해치는 존재이기 때문에(유전자나 발현조절 부위에 끼어 들어가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세포는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질병이다. 지금까지 자가면역반응 치료제는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작동
하게 못하도록 만든 합성화합물이 많았다. 하지만 이들은 감염이나 내성이 생기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았다. 이 점을 주목한 연구팀은 아예 자가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인공적으로 변형했다. 이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있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A 상태에 있으면 검출기를
작동
시킨다. 검출기가
작동
되면 독극물이 든 병이 깨진다. 이 독극물 병은 고양이와 함께 상자에 들어있다. 원자는 양자역학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니 A와 B의 중첩상태, 그러니까 A이면서 동시에 B일 수 있다. 따라서 독약병도 ... ...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나왔다
2015.01.08
10cm 크기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한 뒤 선풍기와 연결해 정상적으로
작동
하는 것을 확인했다.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페로브스카이트는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결정 구조를 일컫는 말로 할로겐화 납, 메틸암모늄, 포름아미디늄 등 무기물과 유기물을 섞어 만든다. 얇은 필름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사라지면서 전사인자의 활동이 시작됐다. 서 교수는 “식물 생장호르몬의
작동
원리를 밝힌 만큼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암세포 ‘에너지 공장’만 골라 죽이는 항암물질 개발
2014.12.23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항암물질이 정상세포가 아닌 암세포에서만 선별적으로
작동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암세포 내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정상세포에 비해 10배 이상 높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리고 고농도의 과산하수소에 반응해 항암물질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을 분비하도록 했다.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