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5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루시는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한다. 평소 10% 정도만
작동
하던 뇌가 마약의 영향으로 100%
작동
했기 때문이다. 이런 설정은 2011년 개봉한 영화 ‘리미트리스(Limitless)’에도 등장한다. 가상의 신약을 먹은 주인공은 하루에 하나씩 외국어를 마스터하고, 소설책 한 권을 순식간에 써버린다. 평소에 쓰지 ... ...
인터넷 끊어져도 스마트폰으로 4개 언어 자동통역
2014.09.01
사용성도 높였다. 이날 시연된 시험버전은 스마트폰에 휴대형 저장장치(USB)를 꽂아야
작동
했지만 연말까지는 지니톡을 유료로 내려 받을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해 공개할 계획이다. 지니톡은 복잡하고 어려운 말 통역에 오류가 있는 경우도 있어 전문 통역사를 대체하기는 어렵지만 해외여행 시 ... ...
백작부인이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머라고?
수학동아
l
2014.08.27
러브레이스의 이름을 본 딴 '에이다 언어' 코딩이다. 이처럼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작동
시키는 데 꼭 필요한 코드는 누가 맨 처음 생각했을까? 코드는 1930년대 수학자들의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했던 논증 방법에서 출발했다. 당시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하던 알고리즘이 변화를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
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발생하는 스핀전류량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민병철 연구원은 “새로운 방식으로
작동
하는 초고속 메모리소자를 구현한 만큼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0일자에 실렸다.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유전자가 염기서열은 동일했지만 DNA에 화학변이(메틸화)가 많이 일어나 완전히
작동
을 멈춘 것. 그 결과 꽃이 기형이 된 것이다. 그리고 이 변이는 세대를 통해 유전됐기 때문에 페롤리아에서는 페롤리아만 나왔다. 이 연구결과는 1999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결국 ‘세대를 이어가는 후성유전학적 ... ...
게임이 위기 대처 능력을 높여 준다?
2014.08.20
게임 설계에서 찾았다. 이 게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사용했던 전략이 다음 단계에선
작동
하지 않도록 설계돼 있다. 또한 게임에서 수행해야 하는 임무도 계속 바뀌기 때문에, 사용자가 계속해서 새로운 전략을 고민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의 패터슨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교육이나 직무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시간이 지날수록 뭉치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게 문제다. 실험결과 6시간 동안
작동
할 때 후반 2시간의 암모니아 생산 효율이 앞 4시간 평균의 85%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저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이 과정을 개선할 여지가 많다”며 미래를 낙관하고 있다. 100여 년 전 ... ...
친환경 에너지 미니카 경주하며 환경의식 키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8.13
서포터즈의 도움을 받아 골드버그 트랙을 제작하고, 친환경 에너지로 충전한 미니카를
작동
시켜 보고 있다.-한국지멘스 제공 한국지멘스가 8월 12일(화) 서울대학교 글로벌컨벤션플라자에서 초등학생 7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지멘스그린스쿨 올림피아드’를 진행했다. 한국지멘스는 사회공헌 ... ...
우리집 아이의 성적인 질문, 어떻게 대답해 줄까
2014.08.10
역사를 교차하는 방식으로 엮어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구성한 뇌의 모습과 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최신 이론도 곁들여진다. 2부는 정재승 교수가 맡아 현실적으로 볼 수 있는 뇌 반응을 소개한다. 쥐가 매끼 어떤 먹이를 고르는지, 사람은 식사 중 어떤 초밥을 먼저 집어먹는지를 살펴본다. ... ...
입는 컴퓨터 상용화 성큼… 트랜지스터 성능 700배 높였다
2014.08.10
특성이 필수인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휘어지는 반도체’ 유기반도체의
작동
메커니즘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기술 개발에 한계로 작용했다. 김봉수 KIST 하이브리드 연구센터 박사팀은 유기반도체 내부의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이를 이용해 유기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700배 개선하는 데 ... ...
이전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