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행
bank
뉴스
"
뱅크
"(으)로 총 5,05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80년 연구의 결실...북극곰 털 모방한 합성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30도 북극에서 서식하는 북극곰.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80년간 이어진 연구 끝에 북극곰의 털가죽을 본따 만든 합성 섬유가 개발됐다. 영하 30도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북극곰이 추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털가죽으로 태양빛을 복사하고 저장하는 원리를 활용했다. 보온성이 탁월하면서도 ... ...
집에서도 수면무호흡 실시간 진단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집에서 수면무호흡증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김정훈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이 가전 소음이나 외부에서 들리는 차량 소음 등 2만개 이상 소음 데이터를 학습시킨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버리는 물건에도 '자아'가 있다
2023.04.08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정리정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면 단연 “쓸모 없는 물건들 처치하기”이다. 많은 이들이 소비를 (필요 없는 소비까지) 밥 먹듯이 하는 사회에서 물건이란 시간이 지날수록 잔뜩 쌓이기 마련이다. 거주 공간이 어마어마하게 넓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 ...
베일 벗는 '손끝의 암호' 지문...'나노' 인공 지문까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08
Ewa Jaroka et.al 박성준 et.al Ewa Jaroka et.al ○ 3중으로 안전하게 나노지문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부터 공항 출국 심사까지 지문은 일상 곳곳에서 '나'를 인증하는 데 쓰입니다. 하지만 누군가가 나의 지문을 모방한다면 개인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큽니다. 이런 위험을 해결하는 ... ...
원숭이 줄기세포로 배아구조 최초 구현…대리모 임신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배아 구조의 기반이 된 배아 줄기세포.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중국 과학자들이 원숭이의 배아 줄기세포에서 배아와 유사한 구조를 만들었다. 배아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태아로 발전하기 전단계다. 이번에 만들어진 원숭이 배아는 암컷의 자궁에서 임신과 유사한 호르몬 반응을 보였다. 실제 배아를 ... ...
초미세먼지가 폐암 일으키는 원리 규명..."때론 흡연보다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폐암에 걸린 3만2957명을 대상으로 PM2.5에 노출된 정도를 확인했다. 분석에는 영국 바이오
뱅크
(UK Biobank)에 저장된 40만7509명의 데이터와 캐나다의 폐암 환자 2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호트(동일집단) 연구 결과도 활용했다. 분석 결과 PM2.5에 많이 노출될수록 E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 ... ...
[오늘과학] 맞춤법 틀린 이력서, 당락 결정에 영향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맞춤법이 틀린 취업용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는 서류전형 당락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필립 스테르켄스 벨기에 겐트대 연구팀이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맞춤법이 틀린 이력서는 맞춤법 오류가 전혀 없는 이력서에 비해 합격 ... ...
중국은 표절·한국은 저자 끼워넣기...만연한 연구 부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학계의 골칫거리인 연구부정 양상이 아시아 국가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표절, 조작, 중복게재, 부당한 저자표기 등 다양한 유형의 연구 부정 중 각국 학계의 문화에 따라 특정한 유형이 특별히 두드러진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표절이나 중복 게재가, 인도나 ... ...
"인간은 몇 초 전 일어난 일도 왜곡해 기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사람은 불과 몇 초 전에 발생한 일에 대해서도 기억을 왜곡해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이나 자신이 기대하는 바에 따라 상황을 재구성해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계는 이를 '단기 기억 착시 현상'이란 용어로 설명한다. 마르테 오텐 ... ...
국내 위암 환자 많은 이유…"특유의 식습관·헬리코박터균"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위암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걸리는 암 중 하나다. 지난해 말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암 발생 순위에서 위암은 4위(10.8%)를 기록했다. 갑상선암(11.8%), 폐암(11.7%), 대장암(11.2%) 다음이다. 국내 위암 환자는 해마다 약 3만명이 새롭게 발생하고 인구 10만명당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