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떠올릴 만한 것이 별로 없다.그러나 생활의 질적인 면이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현대
에 이르러서는, 양상이 크게 달라져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구가 일상의 필수품으로 인식될 정도로 보편화되고, 이것이 지나친 나머지 오히려 에너지문제나 환경문제라는 역기능을 초래할 정도가 ... ...
과학자 264명 UN 환경개발회의에 반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에서 환경운동이 발달해온 지난 수십년간 과학자들은
현대
과학기술이 환경파괴의 주범만은 아니며 보존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고 실제로 새로운 돈벌이로 떠오른 환경기술개발에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환경운동가들은 이 정도의 대안으로는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유는 단순히 그 비법을 오늘에 되살리자는 데에 있는 것만은 아니다. 물론 고대철이
현대
철보다도 부식이 잘 안되는 명확한 이유가 밝혀지지 않고 있어 이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정밀한 복원실험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그 이상의 경제사적 문화사적 의미가 복합돼 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주는 무한한가 유한한가' 이 명제는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아니면 어느 순간에 다시 수축해 무한 밀도의 한점이 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 ... 우주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누가 그 큰 구조물을 만들었을까? 이것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겐 커다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의 로켓이다.우리는 흔히 로켓의 시조를 폰 브라운 박사의 V-2로켓으로 생각하지만 이는
현대
적 의미에서의 로켓이고 기록에 나타난 세계 최초의 로켓은 1232년 중국 금나라에서 몽고의 침입을 받아 싸운 신무기중의 하나인 비화창(날아가는 불화살이라는 뜻)이다. 두번째는 1250년 아라비아의 핫산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상으로 천체의 운동과 중력에 관한 기술을 마치고 다음 호부터는 별의 진화같은
현대
천문학 과정에 관하여 공부해 보기로 한다. 익힘문제 해답(1)식 (14)에서 만일 우리가 ${M}_{1}$=16, ${M}_{2}$=0으로 놓고 P의 단위로 년, a의 단위로 AU를 사용하면 16${P}^{2}$=${a}^{3}$이 된다. a=1이므로 P=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A)라고 불리는 미지의 천체가 있다. 궁수 A는 강한 전파를 내며 그 크기가 10억 km보다 작아
현대
천문학의 수준으로는 그 구조를 볼 수가 없다(은하중심까지의 거리가 3만광년인 것을 생각하면 궁수 A의 모습을 보고자하는 것은 마치 서울에 있는 사람이 부산에 있는 작은 개미 한마리의 모습을 보고자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고대인의 컴퓨터고대인들이라고 무조건 미개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해 버리면 그것은
현대
인들의 잘못된 판단이다. 고대인들의 정신세계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고차원의 세계였다. 호킨스의 설명에 의하면 스톤헨지의 여러 기둥의 위치와 별자리는 모두 깊은 관계가 있어서 그 시대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않았다는 점에서 이 분야는 여전히 태동단계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비선형과학은
현대
과학의 새로운 모색방향으로 인식되고 있음에 틀림없으며 범과학적인 관심과 협조하에서 예측이상의 무궁한 발전과 중요한 결과들이 기대되는 분야다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인공지능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나는 로봇'이야기들을 집필함으로써
현대
로봇공학의 발전에 크나큰 기여를 한 셈이다. 필자는 이제 세상을 떠난 아이작이 실용로봇공학의 기술현황을 대신 소개해 주기를 바란다고 생각해 이 글을 쓴다.우리말로 정말 실용적이려면 로봇은 이 세상에 사는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