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시간을 단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고 벤츠관계자는 밝혔다. 왜냐하면 바쁜
현대
인들은 에너지를 구하는 데 15분을 쓰기보다 그 시간에 도로를 질주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일본과 독일의 전기자동차 조인트 리사이틀수소연료를 압축해서 주입할 때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열을 ... ...
동굴인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된 여유있는
현대
인에게는 이런 동굴 속 상황이 우습게 여겨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대
인들도 구석기시대 인류 못지 않게 심각한 실내공기 오염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루 24시간중에서 80-90% 정도를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노출되는 오염물질도 예전보다 훨씬 다양해졌기 때문이다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쇠붙이들은 거의 영구적으로 남고 심지어는 종이도 분해되려면 60년이 소요된다(
현대
에 출간된 책들은 노랗게 변하고 수주 후면 가루가 되기도 하지만). 또한 쓰레기를 태워서 그렇지 않아도 위험수위에 육박한 공해 심한 대기에 문제를 가중시키는 것도 걱정스러운데 각 지역마다 1억달러가 드는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전기적으로 파악하는 것과 같이 뇌전도라고 이름을 붙여 발표했다. 그후 전기적 측정에
현대
식 전자공학과 정밀한 증폭기가 동원되어 완벽한 뇌파를 측정하게 되었다.이때부터 많은 환자와 의사들에 의하여 뇌파가 측정되고 분석된 결과, 현재는 다섯가지로 분류하고 그 속도에 따라 서파 중속파 ... ...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쇠 숫가락을 굽혀 버린다든지 쇠 파이프를 휘게 하는 사람들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대
인의 뇌 발달과정으로 보아 평균 뇌세포사용량이 3% 정도라고 본다면 앞으로 인간의 뇌가 더욱 발달하여 평균 뇌세포사용량이 4%~10%로 발달했을 때에 나타나는 초능력의 힘은 정말 대단할 것으로 짐작된다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아니라 국·공립 천문기관에서는 큰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대
관측 천문학의 메카라고 불리는 윌슨산천문대의 1백인치 반사망원경은 로스앤젤레스의 불빛 때문에 관측을 중단하고 있으며, 가까운 일본에서도 국립천문대의 관측시설 이전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각국이 하와이나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책에 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똥쑥이 소개됐다. 이 사실은 본초강목에도 언급돼 있으나
현대
약학에서는 이를 무시해 왔다. 그러나 1972년 중국에서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e)이라고 이름붙인 유효성분의 화학구조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이어서 원성분보다 활성이 더 큰 유도체를 ... ...
2. 국산 DTP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대표적인 한글 워드프로세서다.사무용 DTP, 시각적인 문서 작성 가능바쁘게 살아가는
현대
인은 글보다 사진 그림 등의 시각적인 자료에 익숙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추세라도 반영하듯 잡지의 편집 스타일도 '읽는 잡지'에서 '보는 잡지'로 바뀌고 있다.문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처음부터 끝까지 ... ...
에어하트의 비행기 실종 미스터리 추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1928년) 대서양을 횡단한 베테랑급 비행사로 수많은 기록들과 저서를 남겼다. 그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을 바꾼 사람으로도 높이 평가 된다.이러한 업적을 쌓은 여류비행사의 실종사건은 당시 세계에 큰 충격을 던졌으나 세월이 흐름에 따라 점차 잊혀지고 있었다. 그러나 길레스피와 그의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는 당연한 일이다. 그 상태에서 '대폭발'(Big Bang)을 일으켜 팽창 우주가 되었다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정설이다. 태초의 우주가 모든 면에서 지금과 마찬가지였다는 우주론이 한 때 제시되기도 했었다. 즉 우주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감에 따라 은하가 하나씩 없어지면 높은 밀도와 온도를 피할 수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