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필자는 92년 현재 우주론의 큰 흐름을 개략적으로 소개하면서 이 글을 마무리하려 한다.
현대
우주론의 가장 큰 흐름은 초기 우주에서(인플레이션을 통해) 발생된 물질의 미세한 섭동이 지난 1백~2백억년간 어떻게 현재의 은하, 또는 대 은하군으로 진화되었는가에 대한 연구활동이다.이에 버금가는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경제 과학 기술'(Economic Scientific Technology)등 여러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21세기'는
현대
전자 공모전에 등록할 때 얼떨결에 지은 이름."당분간 공개소프트웨어로 계속 밀고나갈 생각입니다. 프로그램의 완성도가 70%정도고 최근에 발표된 한글 2.0판에 비교하면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기 ... ...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계기로 본
현대
교량 그 종류와 장단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아치교 트러스교를 거쳐
현대
에는 현수교에 이어 이의 단점을 보완한 사장교가 대형교량 공법으로 각광받고 있다.선사시대의 교량은 요즘도 냇물이나 계곡을 통과하기 위해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통나무다리와 같은 '단순들보형' 교량이었으리라 추측되나, 목재는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천문학자와 성직자들은 물병자리를 통한 태양의 진로를 주의 깊게 연구하였다. 그러나
현대
의 천문학자들에게 더욱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은 이 별자리에 있는 고리 모양의 성운이다. NGC 7293은 아마 가장 크고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일 것이다. 이 눈부신 가스의 거품들은 별의 종말시기에 그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대한 중점연구가 요구된다.다섯째는 쌀의 품종별 가공용도 및 영양학적 특성규명이다.
현대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쌀은 취반용으로 생산된 것이지만 지역별 또는 품종별로 가공특성과 영양학적 특성 규명이 되어 있지 않다. 이들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앞으로 쌀의 등급화에 관한 ... ...
북경원인과 동시대에 존재한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다지역진화설'로 양분되어 있다.다지역진화설은 세계 여러곳에 정착한 인류가 원인 구인
현대
인 순으로 진화되어왔다는 주장으로 화석의 연대측정에 주로 의존한다. 이에 반해 수만년전 아프리카 북부지역에서 현재의 인류가 나타나 세계 각 지역으로 퍼졌고 이들이 그 지역에 살던 원시인들을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얼마나 오염됐을까? 5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11곳을 동시 관측해 그 결과를 비교했다.
현대
인들, 특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별보는 일을 포기한 지 오래다. 하늘을 바라볼 여유도 없으며 어쩌다 밤하늘에 시선이 가도 두터운 먼지층으로 뒤덮인 희뿌연한 하늘만이 멀건히 모습을 드러 낼 뿐이다.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대한 저항성, 품질 및 재해에 대한 반응 등을 알아내는 과제와 함께 연구되었다. 이즈음
현대
적인 키가 작은 품종(IR 품종)들이 동남아시아 지역의 약 20% 면적에서 재배되었다. 1976년에는 상당히 병충해에 강한 IR36이 육성되었으며 또한 이 품종은 불량토양과 가뭄에 강한 복합 내재해성인 품종이라고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지능의 소유자요" 하는 말의 진실성을 밝히는 것 만큼이나 어렵다.인공지능의 상품화는
현대
사회에서 자본주의적 물신을 섬기기 위한 돈벌이 보다는 시급히 그것을 필요로 하는 여러 장애자를 위한 도구로서 사용할 때 비로소 진정한 과학적 의미를 가질 것이다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월터 호먼(Walter Hohmann)박사가 '천체 도달의 가능성'이라는 논문에서 처음 발표된 궤도로
현대
의 행성탐사의 기본 비행궤도로 이용되고 있다. 호먼궤도에 의한 행성탐사는 지구의 궤도와 가려고 하는 행성의 궤도중 서로 1백80도 되는 각각의 지점을 연결하는 태양을 중심으로 한 타원 궤도를 만들어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