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허위
틀림
실수
과오
실책
실례
스페셜
"
오류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발표 이전에도 태양 질량 150배를 넘는 별이 발견됐다는 논문이 몇 편 있었지만 대부분
오류
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인 대마젤란운의 R136 성단에서 관측된 별의 밝기를 토대로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훗날 최소한 수십 개의 별에서 나온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걸 지켜보느니 좀 번거롭기는 해도 이렇게 해야 마음이 편하다. ●화석 시료 오염이
오류
의 원인 ‘지식의 반감기’란 멋진 제목의 책을 읽다보니 문득 지난달 ‘네이처’(8월 21일자)에 실린 한 논문이 생각났다. 탄소14(14C)의 반감기를 이용한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을 개선해 네안데르탈인의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이 내용은 안토니오 다마지오 교수의 명저 ‘데카르트의
오류
’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브라운 교수는 논문 결론에서 “물고기가 보여주는 인지적 복잡합의 수준은 다른 척추동물과 대등하다”며 “다른 동물들이 감수성이 있다고 간주한다면 물고기도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이 위대한 과학자는 정작 원자론에는 재능이 없었는지, 원자의 존재를 부정하는 중대한
오류
를 범했다. 그가 원자의 대체재로 선택한 것이 바로 소용돌이로, 보텍스 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화학 체계를 구상할 심산이었다. 켈빈 경은 원자는 단단한 입자가 아니라 특정한 모양과 고리의 개수를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하지만 동물실험 과정을 아무리 완벽하게 설계하더라도 동물실험에는 본질적으로
오류
의 가능성이 내재돼 있다. 실험동물의 생리가 사람의 생리와 100%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고전적인 사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진정제로 쓰인 탈리도마이드의 경우 동물실험에서는 부작용이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소금 알갱이를 조금 집어 혀 부위별로 떨어뜨려보면 누구나 반증할 수 있는 명백한
오류
가 60여 년 동안이나 살아남아 과학교과서에까지 버젓이 실렸다는 건 지금 생각해봐도 미스터리한 일이다. ●커피 탈수 실험 논문 딱 두 편 그런데 최근 학술지 ‘플로스 원’에 혀지도까지는 아니지만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집착했다고 한다. 반면 컴퓨터시뮬레이션은 신뢰하지 않아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오류
를 찾을 때마다 무척 통쾌해했다. 파먼은 1990년 은퇴한 뒤에도 유럽오존연구조정단위와 영국남극조사단 등 여러 기관에서 무보수로 자원봉사하며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나눠줬다. 또 당시 마거릿 대처 행정부가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뜬금없는 ‘6과 9를 곱하면 무엇이 나오는가?’ 그마저도 외계인의 간섭으로 연산과정에
오류
가 있어 42라는 이상한 답이 나왔지만. 네트워크 과학은 ‘42’가 아니라 ‘궁극적인 질문’에 가깝다. 네트워크 과학은 과학에서 구하려는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해답을 제시하기 어렵기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했습니다. 논문철회는 어려운 결정이기는 합니다. 논문철회는 저자가 이전 논문에서
오류
를 발견했을 때 스스로 하기도 하지만 논문에 조작처럼 중대한 결함이 있을 때 하기도 하니까요. 그러나 저와 연구실 사람들이 발견한 문제는 가벼이 넘어갈 문제가 아니었어요. 트리졸을 이용하는 다른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유지돼 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쌍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
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세포유전학’에 발표된 한 논문을 보면 감수분열 과정에서 모계(또는 부계)에서 받은 5번 염색체와 부계(또는 모계)에서 받은 23번, 24번 염색체가 나란히 정렬하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