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허위
틀림
실수
과오
실책
실례
스페셜
"
오류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식히는 역할을 하는데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식힐 수 없게 된 것이다. 게다가 이 심각한
오류
를 제어실에서는 사고 발생 후 8분이 지나서야 알아챘다.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의 현재 모습 결국 사고 발생 후 1분 45초만에 끓기 시작한 증기발생기 안의 냉각수는 가압기 내의 수위를 상승시켰다. ... ...
원전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차단이나 냉각수단 상실로 안전기능을 잃는 경우, 세 번째는 상황 대처 과정에서 인적
오류
나 의사결정과정의 혼란이 빚어지는 경우다. 스트레스테스트의 연원에서 엿볼 수 있듯,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이 세 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났다. 후쿠시마 원전에 1차적으로 ... ...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대한 대처능력, 사용후연료 저장조 냉각기능 상실에 따른 대응, 인적
오류
나 의사결정
오류
로 인한 사고 확대 가능성까지도 평가한다.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를 대상으로 시행된 국내의 원전 스트레스테스트는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지원을 얻어 한국수력원자력이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중력 이론으로는 말이 되지 않는 현상이었다. 중력 이론에
오류
가 있는지 따져보았지만
오류
따위는 없었다. 결국 이를 설명하려면 아직 관측하지 못한 무언가가 은하 바깥쪽에 질량을 더해주어야만 했다. 문제는 여전히 있었다. 츠비키 때와 마찬가지로 암흑물질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된다는 주장이고 그 다음 서신은 암 예방 노력은 여전히 매우 중요하며 줄기세포 분열과
오류
횟수가 단순히 시간과 우연의 곱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1월 2일자 논문의 저자인 토마세티와 보겔스타인은 한쪽 반 분량의 답신에서 “이번 논쟁은 ‘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의 원인이 무엇인가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대상이 됐고 레드필드는 작은 영웅이 됐다. 지난해 3월 발표된 중력파 검증 실험의
오류
가능성을 처음 제기한 미국 프린스턴대 데이비드 스퍼겔 교수. ‘네이처’의 ‘2014년 화제가 된 10명’에 선정됐다. - 프린스턴대 제공 그런데 지난해 마지막호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2014년 3월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발광 현상을 목격하기도 했다. 그도 이상한 광선이 발생하는 이유를 실험 장치의
오류
로만 생각하여 실험 장치 제작자에게 항의하곤 했다. 미국의 굿스피드도 뢴트겐보다 5년 전에 우연히 기체방전으로 사진 건판이 검어지는 현상을 보았는데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사진 건판을 치워버렸다. ... ...
손과 발이 찬 이유, 무엇 때문일까?
KISTI
l
2014.12.15
확인하고 혈액검사를 통해 원인이 될 수 있는 병을 찾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뇌의 감각
오류
는 척수에 문제가 발생해도 나타난다. 감각수용체는 척수를 통해 대뇌로 전달되는데 척수에 염증이나 종양이 있으면 감각 인지에 이상이 생긴다. 증상은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팔이나 다리가 시리고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진진해지는 세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그보다 더디게 발전하는 것도 정확성이라는 조건 때문이다. 우주에서는 아주 작은 계산
오류
만으로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현란한 기능을 가진 최신 컴퓨터가 아닌 느리더라도 정확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구형 컴퓨터를 탑재한다. 감성 기반의 데이터는 숫자로 표현되는 계산식과는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7년 후 마리 퀴리가 라듐이 열을 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톰슨의 지구 나이 계산에
오류
가 있음이 드러났다. 톰슨은 추후에 자신의 계산이 틀렸다는 것을 인식했음에도 결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실수를 인정할 수 없을 만큼 거물이 되었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켈빈 경과 같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