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허위
틀림
실수
과오
실책
실례
스페셜
"
오류
"(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안 하고 유야무야 넘어가는 쪽을 모색한다. 그러다보니 심지어 몇몇 학술지는 논문의
오류
를 지적하는 서신을 싣는데 최대 2100달러(약 240만 원)의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 1955년 과학인용지수(임팩트팩터) 개념을 제안한 언어학자 유진 가필드가 지난 2월 26일 92세로 타계했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완전한 인공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일부 연구팀은 합성 게놈의
오류
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술도 발명하며 개발 속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 첫 ‘진핵’ 인공생명체 사실 최초의 인공생명체는 이미 2010년 개발됐다.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는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중이다. 유사입자는 구름에 둘러싸인 입자처럼 거대한 유동에 따라 움직이는 개념이다.
오류
가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적지만 아직 유사입자 개념을 검증한 적이 없어 가장 구현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꼽힌다. 유사입자와 관련된 연구는 IBS에서도 진행하고 있다.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활용해 얼굴 인식 능력을 획득한 것이다. 결국 진화계통수로 인지능력을 판단하는
오류
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미국 중서부에 사는 한 말벌(Polistes fuscatus)은 각자 얼굴이 조금씩 다르게 생겼고 이를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Michael Sheehan 제공 ● 공을 굴리는 뒤영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단위가 구문에서 문장으로 바뀌면서 번역의 질이 확 높아졌다는 것이다. 그 결과 번역
오류
가 55~85%나 줄어들었다. NMT는 각 단어에 벡터값을 부여해 마땅한 번역어가 없을 경우 가장 유사한 단어, 즉 벡터값이 비슷한 단어의 번역어를 제시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사용빈도가 극히 낮은 단어나 필자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계획한 것 달성하려면, 이렇게!
2017.01.21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계획
오류
(Planning fallacy)라고 불린다. ● 긍정적인 예측의
오류
관련해서 심리학자 카네만은 자신의 경험을 다음과 같이 고백한 적이 있다. 학자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됐다. 각자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예상되는 기한을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
IBS
l
2016.10.04
연구자들이 부푼 기대를 안고 이 신호를 분석하는데 참여했다. 안타깝게도 결론은 단순
오류
, '잡음'이었다. 실망감은 컸지만, 포기는 없다. CERN은 오히려 LHC의 크기와 성능을 훨씬 뛰어넘는 새로운 가속기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이른바 '미래원형충돌기(FCC. Future Circular Colider) 프로젝트'. 10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혐오 탄수화물 예찬’의
오류
를 비판하다 ‘탄수화물 혐오 지방 예찬’이라는 새로운
오류
로 빠진 게 아닌가 해서 씁쓸했다. 지난해 번역서가 나온 우리나라에서는 큰 반향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지만 인터넷 서점 아마존 사이트를 보면 2013년 원서가 나온 이래 여전히 베스트셀러이며 독자평이 ... ...
여성의 입장으로 과학을 전달하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강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아시다시피 과학은 미디어에서 자칫
오류
를 보도할 경우 심각한 사회 문제까지 도출할 수 있습니다. 수년 전 국내를 휩쓸었던 광우병 사태 역시 잘못된 과학 지식의 접근으로 벌어진 사태입니다. 그러한 사태를 줄이고자 마련한 사업이 과학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두개골을 지켜보는 포즈를 취한 모우드 교수. - 울런공대학 제공 ● 호빗의 연대추정
오류
밝혀져 이보다 앞서 ‘네이처’ 4월 21일자에는 약간 허탈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1만 8000년 전 으로 추정됐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연대를 10만~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