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스페셜
"
나무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등 표현형을 다양하게 바꿔 환경에 적응하도록 만든다. 주로 습기 찬 흙이나 바위,
나무
틈에 사는 지의류는 이런 공생전략 덕분에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다. 열대지방부터 극지까지, 바닷가부터 해발 8000m의 고지대까지 전 세계 육지를 뒤덮고 있다.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장면이 그렇다. 거대한 코끼리가 위에 올라탄 작은 사람의 지시에 따라 벌목한 아름드리
나무
를 옮기는 모습 역시 경이롭다. 일을 마친 코끼리를 강물에 목욕을 시키며 커다란 솔로 때를 북북 밀어주는 장면이 정겹기도 하다. 물론 필자가 사람과 함께 일하는 동물들의 실상을 몰라서 하는 소리라고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많이 발견되는 곳은 나뭇가지로 52%에 이르렀고 대부분(89%) 아래쪽에 있었다. 그러나 35%는
나무
기둥에서 발견됐고 대부분(35%)은 북쪽에 있었다. 즉 직사광선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나머지 13%는 잔가지에 붙어 있었다. 즉 케틀웰의 실험이 장소면에서도 큰 문제는 없다는 말이다.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별로 살지 않는 북유럽 오지에서 이런 대규모 전투가 벌어진 것일까. 발굴 과정에서
나무
와 돌로 만든 다리의 흔적이 나왔는데, 아마도 이 지역이 교통의 요지였던 것 같다. 즉 두 부족이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전투를 준비했고 이 과정에서 유럽 각지의 용병을 고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시나리오다.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원산지인 에티오피아에는 그 외의 전 세계 지역을 다 합친 것보다도 더 다양한 커피
나무
가 자생하고 있다는 얘기다. 사실 이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예를 들어 콩은 원산지인 한반도에 다양한 야생종이 분포한다. 따라서 현생인류의 다양성도 아프리카가 단연 높을 것이고 또 실제 그렇다. 논문의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기원전 135년 중국(한나라)의 학자 한영이 남긴 그의 저서 ‘한시외전’이다. “풀과
나무
의 꽃은 보통 잎이 다섯 장(따라서 오각형)이지만 눈은 항상 육각형이다”라고 쓰고 있다. 반면 유럽에서는 1555년에야 눈결정에 대한 언급이 처음 나왔다. 그럼에도 눈결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한 건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
IBS
l
2015.12.28
8월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천연 간암치료제 트립톨리드(triptolide)에 주목했다. 미역순
나무
에서 발견된 트립톨리드(triptolide)는 간암 세포 치료효과가 기존 약물에 비해 훨씬 뛰어났지만 독성이 너무 강해 정상 조직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해결책은 나노기술이었다. 연구팀은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3)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대게가 아니라는 것이다. 영덕에서는 껍질이 두텁고 몸집이 큰 대게를 속이 꽉 찬 박달
나무
에 비유하여 ‘박달대게’라고 불러 명품으로 치기도 하는데, 이런 대게는 마리당 10만원이 훌쩍 넘어간다. 박달대게가 살도 많고 맛도 좋지만 살이 실하게 들어찬 것으로 치자면 작은 놈이 더 낫다고 한다.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맹그로브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서 바닷물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열대
나무
다.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오는 오염 물질을 1차로 걸러 바다를 깨끗하게 유지해준다. 깨끗한 물에서만 살 수 있는 산호를 지켜주는 ‘수호천사’인 셈이다. 잘피는 일종의 조류로, 맹그로브에 이어 2차로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연구본관동. 아직 잎이 다 자라지 않은 워싱턴 야자
나무
의 모습이 막 태어난 기관을 대변하는 모양새다. 제주 공항에서 제주 1132 도로를 타고 동쪽으로 약 40분을 달리면 김녕항과 월정리 해수욕장을 지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를 마주할 수 있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