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뉴스
"
바닷물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
로 전기 만드는 해수전지기업 '포투원' 3년 간 15억원 보증 지원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6
기반으로 김영식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2015년 창업했다. 해수전지는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고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다. 리튬 등 값비싼 양극 물질을 무한정한 자원인 해수로 대체해 가격경쟁력이 높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가졌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 ...
해수담수화의 걸림돌 분리막 오염 억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오염되거나 젖지 않도록 하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해수 담수화는
바닷물
에서 염분과 용해물질을 제거해 식수, 생활용수 등을 얻는 기술이다. 해수 담수화 기술 중 막증류 공정은 해수를 가열해 생긴 수증기를 분리막에 통과시켜 해수와 수증기를 분리, 응축해 담수를 생산하는 ... ...
남극 빙붕이 남극 빙하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가까워질수록 남극대륙으로 흐르는 따뜻한
바닷물
의 속도가 떨어졌다. 이후 따뜻한
바닷물
중 대부분이 빙붕에 막혀 흐름이 끊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 중 30%만 빙붕 너머 빙하 하부를 녹이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지름 13m의 물탱크를 만들어 남극 ... ...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들은 왜 핵융합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에너지. 핵융합 연료 1g은 석유 8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욕조 반 분량의
바닷물
에서 추출할 수 있는 중수소와 노트북 배터리 하나에 들어가는 리튬의 양 정도로 한 사람이 3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들의 투자 이유에는 핵융합 기술개발이 빠르게 진행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방법을 개발했다. 염전에서 소금이 만들어지는 장면을 떠올려보자. 수분이 증발해
바닷물
보다 염도가 훨씬 높게 올라가면 어느 순간부터 여기저기에서 작은 소금 결정이 형성된다. 수분이 증발할수록 결정이 더 커지고 결국 쌀알만한 소금 결정 덩어리들이 잔뜩 만들어진다. 그런데 염전의 정확히 ... ...
남극 바다 얼음이 이산화탄소 바다에 가둬 빙하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방출을 막게 된 것을 확인했다. 기온이 떨어지면 해수가 얼어 해빙이 만들어진다. 남겨진
바닷물
은 소금을 많이 담은 짠 염수가 되고 밀도가 커 해저에 가라앉는다. 해빙의 면적이 넓어지면 심층수가 다량 생기고 다시 용승하게 된다. 하지만 빙하기엔 해빙이 바다 표층을 덮어 이산화탄소를 방출할 ... ...
눈 밝은 '천리안2B' 해양 연구를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갯벌에 물이 차오르는 모습이나 해양 폐기물 무단투기,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할 때
바닷물
이 혼탁해진 모습도 포착한다. 과학자들의 기초연구에도 널리 활용된다. 유 센터장은 “천리안1호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한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논문만 200편에 이른다”며 “미국항공우주국(NASA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연구에 의하면 수평적 유전자 전달이 이러한 해조류 소화 능력의 원인인지도 모른다.
바닷물
의 박테리아 중 일부는 해조를 분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온 바다가 해조류로 가득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균의 유전자 중 일부가 장내 미생물의 유전자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다. 일본인의 장내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급격히 진행된 흔적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바닷물
이 산성화하며 석회질 조류가 살아남지 못했고 바다 상층부의 생명체도 사라졌다는 것이다. 소행성 충돌 전 암석층에선 산성화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 ...
외계행성 '생체신호' 포착 새 기법 개발…생명체 탐색 탄력 기대
연합뉴스
l
2020.01.07
수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예컨대 외계행성이 별에 가까이 붙어 있을 때 높은 온도로
바닷물
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강한 자외선 복사에 노출되면 수소와 산소 원자로 분해돼 가벼운 원소인 수소는 우주로 날아가고 산소만 남게 되는데, 오랜 시간에 걸쳐 대기 중 축적된 이런 산소가 생명체가 만든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