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뉴스
"
바닷물
"(으)로 총 56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빙붕이 남극 빙하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가까워질수록 남극대륙으로 흐르는 따뜻한
바닷물
의 속도가 떨어졌다. 이후 따뜻한
바닷물
중 대부분이 빙붕에 막혀 흐름이 끊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 중 30%만 빙붕 너머 빙하 하부를 녹이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지름 13m의 물탱크를 만들어 남극 ... ...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들은 왜 핵융합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에너지. 핵융합 연료 1g은 석유 8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욕조 반 분량의
바닷물
에서 추출할 수 있는 중수소와 노트북 배터리 하나에 들어가는 리튬의 양 정도로 한 사람이 3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들의 투자 이유에는 핵융합 기술개발이 빠르게 진행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방법을 개발했다. 염전에서 소금이 만들어지는 장면을 떠올려보자. 수분이 증발해
바닷물
보다 염도가 훨씬 높게 올라가면 어느 순간부터 여기저기에서 작은 소금 결정이 형성된다. 수분이 증발할수록 결정이 더 커지고 결국 쌀알만한 소금 결정 덩어리들이 잔뜩 만들어진다. 그런데 염전의 정확히 ... ...
남극 바다 얼음이 이산화탄소 바다에 가둬 빙하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방출을 막게 된 것을 확인했다. 기온이 떨어지면 해수가 얼어 해빙이 만들어진다. 남겨진
바닷물
은 소금을 많이 담은 짠 염수가 되고 밀도가 커 해저에 가라앉는다. 해빙의 면적이 넓어지면 심층수가 다량 생기고 다시 용승하게 된다. 하지만 빙하기엔 해빙이 바다 표층을 덮어 이산화탄소를 방출할 ... ...
눈 밝은 '천리안2B' 해양 연구를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갯벌에 물이 차오르는 모습이나 해양 폐기물 무단투기,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할 때
바닷물
이 혼탁해진 모습도 포착한다. 과학자들의 기초연구에도 널리 활용된다. 유 센터장은 “천리안1호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한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논문만 200편에 이른다”며 “미국항공우주국(NASA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연구에 의하면 수평적 유전자 전달이 이러한 해조류 소화 능력의 원인인지도 모른다.
바닷물
의 박테리아 중 일부는 해조를 분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온 바다가 해조류로 가득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균의 유전자 중 일부가 장내 미생물의 유전자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다. 일본인의 장내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급격히 진행된 흔적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바닷물
이 산성화하며 석회질 조류가 살아남지 못했고 바다 상층부의 생명체도 사라졌다는 것이다. 소행성 충돌 전 암석층에선 산성화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 ...
외계행성 '생체신호' 포착 새 기법 개발…생명체 탐색 탄력 기대
연합뉴스
l
2020.01.07
수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예컨대 외계행성이 별에 가까이 붙어 있을 때 높은 온도로
바닷물
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강한 자외선 복사에 노출되면 수소와 산소 원자로 분해돼 가벼운 원소인 수소는 우주로 날아가고 산소만 남게 되는데, 오랜 시간에 걸쳐 대기 중 축적된 이런 산소가 생명체가 만든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사냥 실력보다는 얼마나 많은 양의
바닷물
을 빨리 흡입할 수 있는지가 생존에 중요하며,
바닷물
을 빨아들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몸크기에도 최대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 ...
플라스틱 쌓인 지금은 ‘인류世’ 시대… 생태 위기 해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같은 세(世)다. 지질학계는 유럽 대륙의 빙하기가 끝나면서 거대한 빙상이 사라지고
바닷물
이 130m 급상승한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를 ‘홀로세’로 구분해 왔다. 하지만 1980년대 들어 일부 학자는 여기에서 더 세분화해 인류가 현재 ‘인류세’라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