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적색목록 등급이 올라가고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적색목록 등급은 참여한
학자
들이 서식지, 위협 요인, 대책의 세 가지 항목을 평가해 정된다. 등급이 올라갔다는 것은 그만큼 멸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뜻이다.연도별 비교 연구는 생물 보전 정책이 얼마나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심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800년대 말, 찰스 다윈의 사촌이자 영국 심리
학자
였던 프랜시스 갈톤은 “모든 사람이 가진 얼굴들의 평균이 가장 아름답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진 필름을 합치는 방법으로 얼굴을 섞는 독창적인 방법을 고안해냈다. 많은 사람들의 사진을 섞어 얼굴이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분야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대를 이어 핵융합을 연구하는 플라스마 과
학자
가족이 탄생하는 날을 기대해 본다. 고수의 비법전수 잘 알려진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그곳에 더 많은 기회가 잇다. 특히 공부나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은 새로운 분야에서 더 큰 성과를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움직이는 힘 “오직 통계연구만이 국가를 바르게 이끌 수 있다.”유명한 정치가나 통계
학자
의 말이 아니다. ‘백의의 천사’로 불리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한 말이다. 간호사로 참전한 그녀는 전투 현장보다 열악한 위생환경 때문에 죽는 군인의 수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사실을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레티쿠스로부터 ‘모든 종류의 삼각형에 대하여’라는 책을 받았다. 이 책은 독일의 천문
학자
레기오몬타누스가 1464년에 완성한 책으로 삼각법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책이다. 코페르니쿠스는 이 책을 탐독하며 하늘에 수없이 많은 삼각형을 그렸다. 그가 보던 책의 여백에는 직접 쓴 메모가 수없이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DNA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어.해밀턴 경로문제영국의 이론물리
학자
이자 수
학자
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통과해서 처음 출발한 꼭짓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찾는 게임을 제안했다. 이것이 ‘해밀턴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멸종은 생물 역사에서 공룡의 멸종을 포함해 다섯 번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인류
학자
리처드 리키는 인간 때문에 생명이 사라진 미래를 ‘6번째 대멸종’이라고 불렀다. 우리는 6번째 대멸종을 피할 수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Part 1. 살아남은 50%의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쓰는 걸 귀찮아 해서 많이 정리하지 못했어요.” “이과생에게도 글쓰기는 필수야. 과
학자
들도 실험실 안에서 연구에만 몰두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게 중요해졌단다. 나중에 입학사정관제에서 서류를 낼 때도 독서감상문을 제출해야 하니까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아.”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이야기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 고집 센 외톨이 수
학자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 배틀! 최강 도시를 가린다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이런 수학문제 봤나요? 기억 속에 남는 아름다운 수학문제 최강 수학도시는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985년 미국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이 ‘콘택트’란 소설을 쓸 때 캘리포니아공대의 물리
학자
킵 손이 웜홀이란 개념을 만들어 줬다. 웜홀은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의 물체이자 통로다. 블랙홀과 화이트홀 사이를 이어주는 통로로, 벌레가 사과의 껍질이 아니라 안으로 뚫고 들어가면서 구멍을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