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벨기에의 마리-에스메랄다 공주와 결혼함으로써 또 다시 주목받았다. 중미 출신의 과
학자
가 유럽 왕족과 결혼한다는 건 센세이션이었다.그러나 놀라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이해 10월 노벨위원회는 일산화질소가 생체신호전달물질이라는 사실을 밝힌 연구자들에게 생리의학상을 줬는데 몬타나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인간의 삶도 나선형을 따라 움직인다고 생각했다.기하학적 관점에서 생물을 바라본 생물
학자
다르시 톰슨도 그의 대표저작 ‘성장과 형태에 관하여’에서 생물 성장의 한 형태로 나선을 주목했다. 톰슨은 소라고둥이 마지막으로 성장했던 칸의 곁에 새로운 칸이 같은 각도로 덧붙어서 나선형으로 ... ...
금융전문가가 되는 길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통계학은 금융전문가의 시작경제와 금융이 다르듯이 금융전문가가 되는 것은 경제
학자
가 되는 것과는 다릅니다. 물론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해 금융기관에 취업하고 금융 전문가가 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금융전문가가 되려면 대학에서 경영학, ... ...
책 읽는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물론 자신이 닮고자 하는 모델을 하나씩 세울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책이나 유명한
학자
와의 만남을 통해서 자신의 모델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영재에게 창의력과 실력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인문학적인 소양을 갖춰서 다른 사람과 잘 어우러져 지낼 때 자신의 능력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같은 스핀 아이스라는 물질에서 구현된 모노폴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뤘다.아직 물리
학자
들에게도 낯선 수상한 물질 삼형제를 만나보자. 5년이나 10년 뒤 노벨물리학상이 발표될 때, “그때 수상한 물질 삼형제 가운데 하나구나!”라고 회상할지 누가 알겠는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실제로 응용되는 다강체 소자가 출현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필자를 비롯한 한국의 물리
학자
들이 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 ...
야생조류의 동성애 원인은 수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런 행동의 원인이 ‘수은’일 수도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미국 플로리다대의 생태
학자
인 피터 프레드릭 박사팀은 백색 이비스(따오기의 일종)를 관찰한 결과 메틸수은(MeHg)에 많이 노출될수록 번식률이 낮고 동성 간에 짝짓기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고 ‘영국왕립학술원회보 B’ 12월 1일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새를 잡아먹는 비율은 쥐나 너구리가 새를 잡아먹는 비율보다 훨씬 낮다는 게 여러
학자
들의 견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는 고양이를 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몰아붙여 희생양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 그동안 생태계를 파괴한 가장 큰 원흉이 인간이라는 명백한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MoEDAL이라는 검출기가 모노폴을 추적하고 있다. 어쩌면 조만간 진짜 모노폴을 보았다는 과
학자
가 등장할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생명을 이루는 6대 원소를 대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보다 훨씬 획기적이다.일부 과
학자
들은 현재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생화학 반응으로 살아가는 생명체가 지구 어딘가에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원시 지구에서 태어난 이들 생명체가 멸종하지 않고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생명체가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