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이야기가 있다. 물리학계에서는 케플러를 물리학자라고 하고, 지구과학계에서는 지구과학자라고 주장한다. 미안한 말이지만 교육학계에서 이런 현상이 심했다. 결국 케플러의 법칙이 물리2와 지구과학2에 함께 들어갔는데 물리학에서는 케플러의 법칙이란 이름을 못쓰고 다른 이름으로 나갔다. ...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갖춰야 한다.주의할 점은 사랑이 이런 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자인 전중환 경희대 학부대학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했다. 결국 사랑은 각자 처한 상황과 마음이 복잡하게 ...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국 독자들이 다른 나라에서는 꿈도 꾸지 못하는 호사를 누리는 ”이라고 말했다.“과학자가 아닌 이상 깊이 있는 책을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과학과 예능 사이의 징검다리가 돼 사람들을 많이 끌어당기고 싶습니다.”이윤석 씨는 ‘웃음의 과학’을 통해 과학적 사실을 알아가는 것이 ...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3호
- 6S rDNA의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종류를 어느 정도알게 된 과학자들은 그 다음 단계로 이들 미생물의 게놈 전체를 밝히는 ‘메타유전체학(metagenomics)’ 연구를 시작했다. 인체와 거주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들이 어떤 유전자를 갖고 있고 어떤 생체물질을 ...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일부가 살아남았지요. 바로 우리요….전반적인 환경 변화가 우리의 멸종 원인이라는 게 학자들의 공통적인 주장입니다. 1만 8000년부터 시작되는 빙하기가 다가오고 있었어요. 그것도 전에 없이 강력한 추위를 동반한 빙하기였죠.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추운 지역에서 살기 좋은 체형을 지니고 ... ...
- 모의 우주선, 257일 만에 화성 착륙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지냈다. 참여한 우주인은 총 6명으로 러시아, 유럽, 중국 국적을 가진 공학자, 의사, 물리학자들로 구성됐다. 이들 6명 중 3명이 2월 8일 화성 궤도에 도착해 착륙선에 옮겨 타 화성으로 내려갔다. 이들 가운데 2명이 화성 땅을 밟고 먼저 탐사에 들어간 것이 2월 14일이다.우주인들은 길이 20m, 폭 4m 밖에 ... ...
- 벼룩 점프의 비밀 풀었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고무단백질이 힘을 받아 압축 됐다가 순식간에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반면 영국의 생물학자 헨리 베넷-클락은 벼룩의 넓적마디와 발목마디로 이뤄진 다중접합지렛대가 접혔다 펴져 놀라운 뜀뛰기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40년 동안 논쟁해 왔다.서튼 교수팀은 실제 벼룩의 신체조건을 분석해 벼룩의 ...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김: 무선전력전송의 원리는 무엇인가요?박: 공진현상을 이용합니다.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19세기에 두 물체의 진동수가 맞으면 서로 같이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 현상은 입력하는 신호의 진동주기와 이 신호를 받는 물체 고유의 진동주기가 일치하면 발생합니다. 이때 ...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먼저, 가장 뛰어난 고성능 핵융합 연구장치를 완성했기 때문이다. KSTAR는 전 세계 핵융합학자들이 가장 실험해보고 싶은 실험장치로 손꼽힌다.한국은 KSTAR를 설계하고 운용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EU, 일본, 미국 등 핵융합 선진국들만 참여한다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개발 계획에 참여할 수 ...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속을 이동시키며 나쁜 병균과 싸우고 아픈 부위에만 약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리학자 리차드 파인만이 1959년에 발표한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이란 논문을 보면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마이크로미터 세계에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 이상의 세상이 존재할 거라고 한다. 이것이 현재의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