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합은 180°다. 그런데 두 각이 모두 90°인 삼각형이 있다. 1954년 영국의 물리
학자
이자 수
학자
인 로저 펜로즈는 세 막대를 이용해 두 각이 직각인 도형을 고안한 뒤, 그림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한 삼각형을 영국 심리학회지에 발표했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이 삼각형을 ‘펜로즈의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비밀을 풀 수 있게 된 걸까. 아직 섣불리 단정하거나 흥분할 상황은 아니다.대부분의
학자
들은 두 입자의 발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 우주 궁극의 비밀을 품은 신의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내용이었다. 이는 바로 힉스 입자를 떠올리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입자물리
학자
들의 반응은 전혀 없었다. 실험의 내부 문서는 공식적인것이 아니기 때문에 논할 의미가 없다. 지금 이 순간에도 LHC에서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열심히 힉스 입자를 찾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에피소드일 뿐이다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혼재된 활력이 있는 안전한 도시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셉테드의 역사는 캐나다의 도시
학자
제인 제이콥스에서 시작했다. 제이콥스는 자연스럽게 활력있는 도시를 만들어 범죄를 예방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구분하지 않는 토지이용이 대표적이다. 미국의 도시는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물학의 리처드 도킨스, 인지과학의 데니얼 대닛 등 모두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과
학자
들이 포함돼 있었다. 하지만 이 시리즈는 출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출판사의 도산과 함께 사라지고 말았고 2차분 10권의 출간도 무기한 미뤄졌다. 과학책 애호가들은 실망했고, 뒤늦게 이 책의 가치를 알아챈 ... ...
해석기하를 통한 창의적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도구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마지막 말 또한 높이 평가할 만하다. 벡터 공간을 고안한 물리
학자
의 아이디어도 이러한 탐구활동에서 출발한 게 아닐까 ... ...
언어의 고향은 아프리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나가며 유전자뿐 아니라 언어도 전파했다는 것이다.뉴질랜드 오클랜드대의 진화심리
학자
인 퀜틴 앳킨슨 교수는 언어의 기원을 알기 위해 세계 504개 언어의 음소를 분석했다. 음소란 자음과 모음 같은 언어의 최소 단위다. 분석 결과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 지역의 언어에서 세계 언어가 공통으로 ... ...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모형도 예측 못한 새로운 기본 입자가 있을까. 지난 4월 6일 미국 페르미연구소의 물리
학자
들은 입자가속기를 이용해 충돌 실험을 한 결과 표준 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표준 모형은 자연계의 기본 입자와 4가지 힘 중 중력을 뺀 나머지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
물리-원자력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1896년 프랑스의 물리
학자
베크렐은 우라늄 광석으로부터 사진작용이 강하고 투과력이 강한 방사선이 나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계기로 1898년 퀴리 부부는 우라늄 광물인 피치블랜드에서 우라늄보다 더욱 강한 방사선을 내는 폴로늄(Po)과 라듐(Ra)을 발견했다.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분야도 좋은 탐구주제가 될 수 있다. 천체물리
학자
나 응용수
학자
, 첨단 소재를 이용한 공
학자
의 길을 걷고자 한다면 미래의 꿈과 연계해 주제를 선정하면 좋다.그러나 첨단 물리학 주제를 직접 실험해본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현장에서 이뤄지는 연구는 대부분 아주 비싸고 복잡한 장치를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