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움직이는 힘 “오직 통계연구만이 국가를 바르게 이끌 수 있다.”유명한 정치가나 통계
학자
의 말이 아니다. ‘백의의 천사’로 불리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한 말이다. 간호사로 참전한 그녀는 전투 현장보다 열악한 위생환경 때문에 죽는 군인의 수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사실을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DNA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했어.해밀턴 경로문제영국의 이론물리
학자
이자 수
학자
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통과해서 처음 출발한 꼭짓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찾는 게임을 제안했다. 이것이 ‘해밀턴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는 지성체로 진화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정상우주론을 주장해 유명한 영국의 천문
학자
프레드 호일 경은 소설 ‘검은 구름’에서 이같은 생명체를 묘사했다. 이렇게 유기물로 이뤄지지 않은 생명이 과연 인류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이런 생명체는 사람이 타고 있는 우주선의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시험관 아기 시술법’을 개발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생식생리
학자
로버트 에드워즈 명예교수(현재 85세)가 수상했다. 공동연구자였던 패트릭 스텝토 교수는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에서 제외됐다.스웨덴 노벨상 위원회는 에드워즈 박사의 업적을 이렇게 평가했다.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통과해 맺힌 상은 거울을 보듯 뒤집혀 보인다”고 기록했다. 11세기 송나라의
학자
심괄이 처음으로 카메라 옵스쿠라의 특성에 대해 실험을 하기도 했지만, 1820년대 들어서야 서양에서 브롬화은으로 만든 감광지를 이용해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바늘구멍 사진기의 상이 맺히는 부분에 기름종이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병을 일으킬 만큼 위험한 수치였다.연구팀이 이런 실험을 하게 된 동기는 “동료 미생물
학자
들이 수염을 제대로 깎지 않아,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즐거우면 아픈 것도 잊는다?!천식을 치료하는 데 심리적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히려고 천식 환자를 ... ...
칭찬 보다 비난이 더 신경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시기심, 경쟁심 등이 자라게 된다.그렇다면 마음을 조절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정신의
학자
카를 융은 동량의 원리(principle of equivalence)와 엔트로피의 원리(principle of entropy)로 정신적 에너지를 정리했다.동량의 원리는 어떤 정신적 요소에 할당된 에너지가 줄거나 사라지면 같은 양의 에너지가 다른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전기공급시스템과 전기회로 기판의 초기 설계, 영재교육에 활용되면서 공
학자
와 교육
학자
도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를 알면 게임은 100전 100승!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과감하다는 점이다. 우선 물리학상의 노보셀로프 박사는 나이가 겨우 36세에 불과한 젊은
학자
다. 게다가 선정된 주제는 아직 연구한 지 6년밖에 되지 않은 신생 분야다. 올해 다른 분야의 수상자가 모두 70대 후반에서 80대에 이르며, 생리의학상을 받은 로버트 에드워즈 케임브리지대 명예교수의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의사도 여러 방향이 있어. 뇌과학을 연구해서 공학과 융합하거나 CSI에 나오는 법의
학자
가 될 수도 있어. 네 꿈을 어떻게 구체화시켜 하나씩 실현해 갈지는 네 몫이란다.”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바이오포럼 활동을 기반으로 지역 생태보호 봉사단을 만들어본다. 봉사단이 자리잡히면 후배들을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