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보세요.”현미경 슬라이드 위에는 증발기에서 채취한 시럽이 발라져 있다. 반짝반짝 불
빛
을 반사하는 모습이 시럽 속에 결정이 상당히 형성돼 있음을 짐작케 했다. 실제로 현미경 대안렌즈에 눈을 갖다 대자 마치 다이아몬드를 뿌려 놓은 듯 눈부신 설탕결정이 가득하다. 정말 크기가 똑같아 보인다 ... ...
거친 파도의 비밀을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들었습니다. 파도의 파동은 날씨와 해류의 영향을 받아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빛
을 사용한 것입니다.광학장치를 통해 실험한 결과 거친 파도는 2개의 파동이 증폭돼 생기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평소에 나타나는 파도보다 훨씬 더 큰 파도가 일어난다는 사실도 알아 냈습니다.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천문학에 대한 동경을 키웠던 기억이 난다. 이 책들은 빅뱅이라는 거대한 폭발로부터
빛
과 입자들이 존재하고 물질이 만들어지며 우주가 구조화되는 과정을 서술한다. 빅뱅으로부터 현재 상태에 이르는 거대한 우주의 진화과정에 대한 서사가 이 책들의 핵심 내용이다.하지만 ‘코스모스’와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행성에서 보낸
빛
을 포착할 수 있는 망원경을 가동했다. 보도에 따르면 드레이크 박사는
빛
자체에 복잡한 정보를 싣지는 않더라도 번쩍이는 주기를 활용해 의사를 전달하려는 외계인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기존에 사용되던 전파망원경의 성능도 좋아지고 있다. 가장 규모가 큰 세티 연구인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역시 가로무늬근의 일종이지만 미오글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혈관이 잘 발달해 붉은
빛
을 띤다. 백색근에 비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데다 지질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장시간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경우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흔히 생선을 흰 살 생선과 붉은 살 생선으로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땅거미가 져 어두운데도 야광운은 지평선 아래에 있는 태양
빛
을 받아 한참 동안 밝게
빛
나는 것이다.그런데 어떻게 이렇게 높은 곳에서 구름이 형성되는 걸까. 과학자들은 야광운도 낮은 곳에서 생기는 여느 구름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고 짐작하고 있다. 즉 기온이 낮은 곳에서 구름씨 역할을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바닷물이 대개 옥색을 띤다. 산호가 얕은 곳에서 사는 이유는 공생하는 해조류가 햇
빛
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떼를 지어 사는 산호는 그 안에 살며 광합성을 하는 수백만의 단세포 해조류로부터 먹이를 얻고 해조류들을 보호한다.또 산호초는 열대어를 비롯한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한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감지된
빛
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영상으로 만드는 데 있다.
빛
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데 걸리는 시간을 아껴 일정 시간에 더 많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카메라를 쓰면 충격파, 살아 있는 세포의 움직임도 잡아낼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촬영 속도가 빠른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늘고 있다. 건어물녀란 용어는 2007년일본 NTV에서 방영해 큰 인기를 끈 드라마‘호타루의
빛
’에서 유래했다. 회사에서 집에 돌아오면 무미건조한 삶을 사는 드라마의 여주인공 아메미야 호타루(아야세 하루카 분)에게 회사상사가 붙여준 별명이다.건어물녀가 집에만 돌아오면 완전히 달라지는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이 교수는 “세종대왕이 15세기에 발명한 한글은 21세기 들어 더
빛
을 발하고 있다”며 “단말기 입력 속도도 로마자보다 훨씬 빠르다”고 덧붙였다.사람들의 발명품인 문자는 그 특성에 따라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다. 기원전 4000년 무렵 발명돼 인류 최초의 문자로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