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외피를 만들 거예요. 뿐만 아니라 썰매 앞에는 레이저가 달려 있어 가장 빠른 길을 찾아
빛
을 비춘답니다.정말 판타스틱하네요! 하지만 많은 선물들은 어떻게 다 싣나요? 그것도 무척 중요한 문제 아닌가요?걱정하지 마세요. 이 썰매에는 탄소를 합성해 플라스틱 장난감을 만들 수 있는 마법 주머니가 ... ...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적당량을 덜어 소다를 바른다. 소다가 들어간 면은 쫄깃쫄깃해진다. 면이 약간 노란
빛
을 띠는 것도 소다 때문이다. 달인은 반죽의 양쪽 끝을 잡고 두드리면서 반죽 전체가 같은 끈기를 가지도록 만든다. 들고 흔들다가 꽈배기도 만든다. 면의 굵기를 맞추기 위해서다. 굵기가 같지 않으면 힘의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동물의 먹이가 되고 구름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을 주죠. 그 구름은 지구로 들어오는 햇
빛
을 반사해 온난화를 막아요. 그런데 환경이 오염돼 미생물의 수가 줄자 지구는 더워지고 바다동물도 죽기 시작했어요. 대기의 산소도 희박해졌지요.생물들이 실종되고 있다어때? 이제야 믿겠니? 생물다양성이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름은 ‘금
빛
얼룩무늬 호랑이(Golden Tabby Tiger)’다. 이 호랑이는 검은색 줄무늬 대신 금
빛
을 띠는 줄무늬를 가진다. 털 색깔도 일반 호랑이보다 연하고, 특히 다리 부분이 백호처럼 희다. 황금색 호랑이의 털은 일반 호랑이 털보다 훨씬 두껍다.호랑이 소리를 들으면 왜 오금이 저릴까“어흥~.”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시속 3.6km다. 두 발의 최대 보폭은 30cm로 넓어졌다. 5년에 가까운 연구개발이 드디어
빛
을 본 것이다.이런 노력을 들여 로봇을 꼭 두 발로 걷고 달리게 할 필요가 있는 걸까. 여기에 대해선 일부 전문가들조차 회의적이다. 로봇이 꼭 인간형이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영화에서처럼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축하거나 이완한다. 즉 눈동자가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눈 안으로 들어오는
빛
의 양을 조절한다. 이때 홍채가 수축하면 눈동자가 커진다.‘도넛’은 뼈에서도 찾을 수 있다. 기다란 척추에서 맨 위에 있는 뼈, 즉 목 바로 뒤에 있는 제1 척추 ‘아틀라스’다. 다른 척추 뼈들은 자기 위에 있는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한다. 따라서 거울 지름이 커질 수밖에 없다. 거울전체 표면도 균일하지 않으면 정교한
빛
을 얻기 힘들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2008년 10월 세계에서 6번째로 개발한 지름 2m짜리 반사거울은 우주에서 자동차 번호판을 식별할 수 있다. 이 정도면 위성사진으로 남녀를 구별할 수도 있는 수준이다 ... ...
밤에 더
빛
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
빛
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서 깜깜한 밤에도 하얗게
빛
을 발하는 것이다.2007년 발사된 AIM은 북위 60~85° 상공에서 1년 내내 야광운을 관찰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야광운이 얼음 알갱이나 화산에서 분출한 먼지, 유성의 티끌로 이뤄져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득했다.사막 깊숙이 들어갈수록 붉은색을 띠던 흙도 메마른 회색으로 바뀌었다. 회색
빛
개미집은 시멘트로 만든 조형물 같았다. 해질 무렵 지도상에 표시된 원주민 마을에 도착할 수 있었다. ‘애버리진’으로 불리는 호주 원주민의 조상은 17세기 유럽인이 처음 오기 훨씬 전인 4만 년 전 이곳에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방향을 제어하는 독특한 방법을 써서 입체감을 느끼게 했다. 왼쪽과 오른쪽 눈에 비치는
빛
을 제어해서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이다.좌우로 기울이면 서로 다른 두 개의 그림이 보이는 렌티큘러 방식의 책받침이나 딱지처럼 별도로 안경을 쓸 필요가 없다. 눈이 2개인 덕분에 3D W1은 다양한 촬영을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